동물들이 살아 있는 미술관 이야기
클레르 다르쿠르 지음, 신성림 옮김 / 비룡소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빅터 브라우너 <여우식탁>
 
미술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그 어느 하나 갖고 싶지 않은 게 있으랴만, 이 책은 오래 오래 곁에 두고 싶은 책 가운데 하나다. 동물을 그리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서 그냥 한번 책을 펴보았는데, 오 정말~ 놀라왔다. 우리 예술사는 오랫동안 동물을 주제로 다뤄왔다는 것, 그래서 그 어떤 대상보다 풍부하고 아름다운 작품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아이들에게 동물에 관한 지식과 예술을 동시에 가르쳐줄 수 있으니, 정말 이보다 좋을 수는 없다.
 
이 책의 장점은  다양한 시대,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쟝르의 동물 예술 작품을이 모여있다는 점이다. 이집트,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등 세계의 동물그림이 조각, 회화, 타피스트리, 설치 미술에 이르기 까지 최고의 것을 모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의 '고양이'편을 보자. 이집트 청동상 고양이와 피카소가 그린 고양이가 소개된다. 먼 옛날의 이집트 청동상은 놀라우리 만큼 우아하고, 피카소가 그린 고양이는 새를 잔인하게 잡아먹는다. 고양이라해도 같은 고양이가 아니다. 우아하기도 하고, 잔인하기도 하다. 고양이의 여러 측면을 고대와 현대에 아울러 잡아두었다.
  

 


'당나귀'는 이집트의 나무 조각이 등장하고, '기린'에서는 아라비아의 세밀화가 양피지에 채색되어 나온다. '개'는 1세기 폼페이유적지 모자이크에서 발견한 것이다. 19세기 아프리카 콩코에서 영매로 쓰인 개는 온 몸에 쇠못을 둘러쓰고 있다. 현대미술도 빠지지 않는다. 알렉산더 콜더의 '닭'은 양철깡통과 철사로 만들었다.

그러고 보면 미술의 역사는 동물들로 부터 시작되었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어두운 동굴에 그림을 그려 동물에 대한 두려움을 떨치거나, 자신감을 얻기 위해 동물을 수호신으로 삼았다. 동물은 미술사에서 '상징'으로 활약했고, 장식 문양으로, 이야기의 주제로 등장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동물은 미술의 주제로서도 더 없이 풍부하다. 도판뒤의 설명은 쉽고 재미있다. 아이들에게 동물을 가르쳐 주려면, 기왕이면 이런 멋진 책으로 다가가 보자.  우아하고 기품있는 동물들이 아이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