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디자인 산책 디자인 산책 시리즈 1
안애경 지음 / 나무수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내게 핀란드의 첫이미지는 노키아( NOKIA ) 였다. 휴대폰으로 세계를 주름잡는 나라가 알고 보니 북유럽의 작은 나라 
였다는 것이 신기했다.
두번째 이미지는 좀더 강했다. 영화 < 카모메 식당 >이다. 일본 여성 4명이 우연히 모여 핀란드 헬싱키에서 주먹밥과 시나몬케익을 위주로 하는 자그만 카페를 운영하는 과정의 이야기다. 자본주의의 최고를 걷는 일본이 정작 개개인은 얼마나 황폐한 마음으로 살아가는지,핀란드의 평화로움과 대비해서 그려지고 있다.
이 영화에서 누군가 이렇게 말한다. "핀란드 사람들은 어쩜 그리도 평화롭지요?" 그 답은 간단하다. "숲이 있기 때문입니다" 
갖가지 상처를 안고 일본을 떠나온 그들은 핀란드에서 작은 식당을 하며 평화와 생기를 찾아가는 이야기가 잔잔하게 그려진
이 이야기는 지금도 가끔씩 보곤한다. 핀란드, 대체 어떤 나라일까?

핀란드를 급호감인 내게 다가온 또하나의 대상은 <핀란드 디자인산책>(안애경 저. 나무수 출판)이다. 그녀가 핀란드에서
만난 일상 속의 디자인과 예술가들, 보통 사람들의 삶과 디자인을 말하고 있다. 핀란드 사람들에게 디자인이란 최대한 자연
을 존중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공원을 건설할 때도 있는 그대로의 지형을 최대한 살리며, 도로는 직선이
기보다 곡선이다. 왜? 자연은 내것이 아니니까.
그들은 일회용 컵을 쓰지 않는다. 테이크 아웃 종이커피잔을 들고 다니는 게 멋인양 여겨지는 한국의 도심의 거리를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핀란드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도기컵을 사용한다. 그림에서 보는 이쁜 머그 잔은 핀란드 사슴의 뿔을 닮았다. 어느 조각가는 죽은 나무만을 사용해서 조각을 한다. 쓰러진 나무에서 영감을 얻어 새롭게 아름다운 작품을 끌어낸다. 
사회적 약자를 최대한 배려한 도시의 설계, 자연을 쓰러뜨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편리함의 추구... 공공디자인이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닌가 싶다.

 

알바르 알또의 암체어 


 Anu Penttinen의 새를 주제로 한 작품들

그동안 '디자인'하면 일본이나 뉴욕, 이탈리아만을 떠올렸는데, <핀란드 디자인 산책>을 보니 핀란드의 디자인의 세계가 매우
풍부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실제로 책을 열어보면 우리 눈에 익숙한 것들이 눈에 들어온다. 오이바또이까의 <새> 시리즈
, 알바르 알또의 암체어등. 아... 이것이 핀란드 디자인이었구나.. 하고. 디자인이라고 하면 자본주의의 꽃처럼 받아들여졌다. 화려한 포장, 눈에 쏙 들어오는 깜찍함. 사지 않고는 배겨낼 지 못하는 유혹적인 자태... 그러나 핀란드에서의 디자인은 그런 것
이 아니었다.사람들의 삶을 따뜻하게 감싸고, 삶을 풍부하게 하는 친구같은 존재다.

<핀란드 디자인 산책>을 읽으면서 '좋은 디자인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번쩍 거리는 광화문에서 숨이 막힐 것 같고, 휴일 청계천 인파를 보면 어지러워진다. 조잡한 도시 설계와 어디서나 시끄럽게
짖어내는 광고판들을 보면서, 왜 론리플래닛이 서울이 '회색콘크리트로 둘러싸인 알콜중독의 도시'라고 평가했는지 충분히
이해할 것 같다.
서울은 디자인을 그토록 부르짖었지만, 금빛으로 번쩍대는 세종대왕뒤로 스노보드 하는 것에 그쳤을 뿐이다.
한가지 확실한건 디자인은 기술이거나 자본이 아니라는 것이다. 디자인은 철학이다. 우리는 철학이 너무 없다. 아무리 많은
돈을 들여도 철학의 부재는 늘 엉성한 그 무엇을 만들어 내어 자손 대대 민폐를 끼칠 뿐이다. 안타깝다. 

이 책을 낸 도서출판 '나무 수'는 책 판매 1%를 희망제작소에 기부하고 있다. 좋은 책을 사면서 동시에 좋은 일을 하게 되어
기분좋다.2009년 8월 초판이 나왔다. 한달만에 2쇄를 찍었고, 내가 산 것은 2009년 9월에 나온 것이다. 지금쯤 더 많은 사람들
이 읽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