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의 유전자 - 협력과 배신, 그리고 진화에 관한 모든 이야기
니컬라 라이하니 지음, 김정아 옮김, 장이권 감수 / 한빛비즈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 신비로운 세계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어떻게 그 작은 세계에

큰 세계의 의미가 다 숨겨져있는 지 알면 알수록 신비 그 자체이다.

유전자.

과거 리처드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으면서

인간이 지니고 있는 현재의 모습이 조금은 이해가 되면서도

여전히 우리가 왜 이렇게 함께 살아가고 있는 지에 대해서 이해 되지 않는 부분도 많았었다.

그만큼 신비롭고 놀라운 세계가

유전자의 세계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만나본 유전자의 세계.

바로 니컬라 라이하니의 <협력의 유전자>이다.

니컬라 라이하니는 최근 주목 받는 진화 심리학자로 인정 받고 있는 사람이다.

그녀는 책에서 협력이야말로 인류의 본성이며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다양한 위기를 극복할 힘이 우리에게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있다.

1부에서는 유전자와 세포가 어떻게 협력해 통합된 독립체를 형성하는지 개체의 진화를 이야기한다.

2부에서는 조금 시야를 넓혀서 가족의 진화 부분을 살펴보고

3부에서는 완전한 타인에게 우리가 왜 도움을 베푸는 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마지막 4부에서는 대규모의 사회 진화를 살펴본다.

점점 더 범위를 넓혀가면서 하나하나 살펴볼 수 있는 재미가 책을 통해 주어진다.

생명을 빚어가는 힘, 협력

이기적 유전자 변이를 사람에 빗대어 설명하면 줄을 서지 않고 맨 앞으로 끼어드는 새치기꾼이라 할 수 있다. 새치기꾼은 이런 식으로 약삭빠르게 이익을 얻으면서도 비용은 참을성 있게 줄을 선 나머지 사람들에게 떠넘긴다. 새치기꾼이 줄 선 사람들을 우습게 여기듯 이기적 유전자도 자기 목적을 이룰 수 있다면 그에 따른 혼돈은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기적 유전자가 숙주인 생명체에 아무리 심각한 해를 끼친다 해도 걸리지만 않는다면 그런 못된 전략을 이용해 개체군에 빠르게 퍼질 수 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런 문제를 없애는 데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은 협력이다. _ 책 61쪽에서

새치기꾼을 없앨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 협력.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오는 과정에서 필요한 건 생명.

바로 생존일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그 모든 것들을 만들어가는게 협력이라고 이야기한다.

다수의 협력이 몇몇 이기적 유전자가 전체 체계를 무너뜨리지 못하게 막고 있는 것이

우리가 맞닿은 현실인 것이다.

그리고 이건 가족일 때 더 깊이 나타난다.

우리가 협력해 아이를 키우는 종이라는 사실에는 인간 사회와 육아 규범을 이해할 깊은 의미가 숨어 있다. 인류는 사회를 이뤄 살았으며 인간이 지구에 존재한 대부분의 기간 동안 엄마는 광범위한 인간관계 속에 있었고, 아이는 아빠, 손위 형제자매, 부모의 형제자매, 조부모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에게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 오늘날까지 여러 인간 사회가 이렇게 살아간다. 물론 많은 산업 사회에서는 대가족이 학교, 어린이집 같은 공식 기관으로 상당수 대체되었다. 이와 같은 아이를 돌보는 공식 기관들은 협력해 아이를 키우려는 본성이 논리적으로 확장한 결과이며, 애초에 그런 기관이 존재하는 까닭도 우리가 협력해 아이를 키우는 종이기 때문이다. _ 책 113쪽에서

우리가 지금과 같은 사회를 이루면서 살아가고 있는 이유

우리에게 여전히 가족이 중요하고

우리가 여전히 가족을 만들어가고 있는 그 이유를

책은 협력의 유전자라고 이야기해준다.

협력이 생명을 만들어가는 힘이되고 있다.


가족을 넘어 사회에서도

우리 인간이 협력의 범위를 넓힐 줄 아는 까닭은 다른 데 있다. 우리는 자연이 던진 게임에 새로운 규칙을, 새로운 제도를 고안할 줄 안다. 제도는 화룡점정과 같다. 사회적 딜레마에 제도를 얹으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모습과 본질이 바뀐다. 제도는 규칙을 바꾸므로, 배신이 가장 이로운 상황을 개인이 협력해야하 성공하는 상황으로 바꿀 수 있다. _ 책 201쪽에서

꾸준히 우리는 협력의 범위를 넓혀가면서 살아간다.

함께 살기 위해 소통하고 협력을 이끌어낸다.

공공재 게임에서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한번만 했을 때는 배신이 유리하지만

꾸준히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협력이 중요한 것이다.

개인의 생존과 번식 성공도가 다른 사람의 노력에 크게 좌우되자, 인간은 상호작용하는 상대를 관찰하고 평가할 뿐 아니라 되도록 자신을 좋게 표현할 사회인지 형질을 여럿 발달시켰다. 공정하다는 평판은 생존에 필요한 위험한 협력 활동을 함께 수행할 동료를 끌어모으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상호의존은 사람이 침팬지보다 훨씬 더 뛰어난 사냥꾼이 된 까닭을 설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사냥에 필요한 것이 타고난 근력과 완력뿐이었다면 침팬지가 인류의 코를 납작하게 눌렀을 것이다. 하지만 침팬지에게는 아주 중요한 능력이 부족하다. 우리가 훨씬 뛰어난 능력, 바로 협력 말이다. _ 책 269쪽에서

그렇게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는 종이 되었다.

협력이 가져온 결과 속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라고 저자는 책을 통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조금만 둘러보면

우리가 왜 이렇게 살고 있는 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땅에 살아남은 생명들의 이야기


코로나19 상황을 맞이하면서

우리 주변에서의 협력 상황을 무척이나 많이 마주했다.

여전히 이기적이라고 말하는 세상 속에서

아름다운 이야기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라고 생각해보면

공생을 통해 진화를 이루어내고

그 안에서 살아남은 생명들의 이야기가

결국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그리고 <협력의 유전자>

이 책은 바로 그들의 이야기에 힘이 실릴 수 있는

작가의 놀라운 통찰력이 느껴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