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작가를 위한 출판백서 - 기획출판부터 독립출판까지, 내 책 출간의 모든 것
권준우 지음 / 푸른향기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만의 책을 갖는 것.
이전에는 책을 낸다는 것에 대한 문턱이 무척이나 높게 느껴졌지만
오늘날에 책을 낸다는 것은 그리 어렵게 느껴지는 일만은 아니다.
물론 글을 쓰고 다듬는 것 자체는
예나 지금이나 어려운 일이겠지만
출판이라는 행위에 대해서는
그 방법과 방향이 굉장히 다양해졌고
그만큼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굉장히 넓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넓어지니까 더 모르겠다라는 것이 출판이기도 하다.
기획출판, 독립출판, 상업출판, 1인출판 등등
무언가 알 것만 같으면서도 헷갈리고
그래서 어느 누가 하나 제대로 정리해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예비 작가를 위한 출판 백서>
이 책이 바로 그 출판에 대한 전체적인 과정을 정리해두고 있다.

저는 출판사 대표가 아닙니다. 잘 나가는 기획자도 아닙니다. 인쇄소 사장도 아닙니다. 그저 평범한, 글쓰기를 좋아하는 저자 중 한 명입니다. 하지만 당신이 내민 손이 외면당해 무안할 때,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출판을 포기하려 할 때, 제가 겪었던 경험을 통해 나아갈 길을 설명해줄 수 있습니다. _책 중에서

책의 저자는 출판사 대표도, 기획자도, 인쇄소 사장도 아니다.
그저 한 명의 작가일 뿐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실제로 겪은 일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기 때문에
조금 더 현실적으로 출판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책은 글을 어떻게 써야하는 지에 대한 이야기와
출판 과정에 대한 이야기.
기획 출판에 도전하는 이야기.
자비 출판과 셀프출판 그리고 전자책 출판
마지막으로는 1인 출판과 마케팅까지
출판 준비와 마무리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한 권의 책은 어느 정도 분량의 원고로 이루어질까? 보통 책이 만들어지는 기준을 200페이지 정도로 잡는다. 물론 200페이지보다 적은 분량의 원고로 만들어진 책도 있지만,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보기에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280페이지 정도를 적당량으로 삼는다. 원고지로 치면 대략 800매 전후다. _ 책 중에서

책에 정해진 분량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책을 한 권 읽는다고 할 때
사람들이 머릿 속에 생각해두는 적정 분량이 있기 마련이다.
얼마나 어느 정도 써야하는 지 구체적으로 짚어주는 부분이 참 좋았다.

또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것은 배본이다. 책은 전국에 흩어져 있는 서점에 판매된다. 서점은 책이 팔리거나 인기가 있을 것 같으면 출판사에 연락해서 책을 주문한다. 그런데 서점이 전국에 흩어져 있다 보니 일일이 직접 책을 가져다 줄 수가 없다. 택배를 이용하자니 택배비가 더 들고, 포장하고 뜯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크다. 결국 배본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인쇄소에서 책을 찍어내면 그 책은 출판사로 가는 것이 아니라 배본사의 물류창고로 간다. 주문이 들어오면 출판사는 배본사에 연락해 책을 어느 어느 서점으로 보내달라고 주문하고, 배본사는 들어온 주문에 따라 책을 보낸다. 보통 한 권의 책을 보내는 데 100원 정도 든다. _ 책 중에서

배본에 대한 이야기.
그저 책이 만들어지면 끝일거라 생각했는데
실제로 책이 유통되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복잡한 만큼 매우 체계적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당연한 비용들까지.
출판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참으로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기획을 만들려면 저자가 아닌 기획자의 눈으로 바라봐야 한다. 내가 콘셉트 없이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모아서 책을 만들었다면 그저 그런 책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편집자가 원고의 방향을 조정해주니 일관성 있는 주제의 책이 되었다. 편집자 혹은 독자의 눈으로 원고를 바라보자. 만약 독자의 눈으로 바라봤을 때 매력이 없는 콘셉트라면, 과감히 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 할 필요도 있다. _ 책 중에서

책을 쓴다는 것.
그건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결국 독자가 듣고 싶어하는 이야기를 해줘야하는 것이기에.
기획 과정에서 고민하고 결정하는 것들이 얼마나 중요한 지 생각해보게 된다.

전자책이 나오기 전까지 출판의 벽은 매우 높았다. 투고를 통해 출판계약을 맺기도 어렵지만 책을 만들었다 해도 중쇄를 찍고 베스트셀러가 되는 길은 너무나 험난했다. 출판된 책의 대부분이 제대로 서점 매대에 올라보지도 못하고 서가로 옮겨갔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전자책은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다. 남에게 전해줄 지식만 있다면, 누구나 저자가 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이다. _ 책 중에서

지식만 있다면 누구나 저자가 될 수 있는 세상.
전자책이 만들어낸 세상은 참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노력과 지적 재산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받게 되고
지식과 글솜씨만 있으면 누구나 저자가 되고
인세를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책은 이러한 전자책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이야기해준다.

제가 경험한 시행착오들을 정리하다보니 한 권의 책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작은 책이 출판의 모든 것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나만의 책을 갖고 싶어하는 예비작가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정보를 꾹꾹 눌러 담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발판삼아, 여러분의 책을 가질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희망해봅니다. _ 책 중에서

나만의 책을 갖는 것.
이제는 마냥 꿈으로만 꾸는 세상이 아니라
쉽게 도전할 수 있고 그리고 이룰 수 있는 환경이 조정되었다.
그러기에 더욱 도전해볼만한 출판.
그 과정에 대한 작가의 경험을
<예비 작가를 위한 출판 백서>를 통해 만나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