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뛰어노는 한자 이어령의 춤추는 생각학교 6
이어령 지음, 박재현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사람들이 과연 한자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문득 해본다. 사실 중고등학생때 배우는 한자 이외에 많은 사람들이 더 이상의 한자공부는 하지 않는다. 중고등학교때 배웠던 한자도 그때만이고 진짜 한자를 공부하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드물다고 한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우리에게 한자가 필요가 없는 것일까?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자를 열의를 배우지 않으려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한자는 무수히 많은 쓰임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평소에 쓰는 말 중에서 한자가 반이 넘는다고 하니 더 이상의 설명이 무슨 필요가 있으랴. 하지만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한자는 어렵다. 한자의 공부에 있어 무조건적으로 암기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온 책이 바로 이어령 씨가 지은 <생각이 뛰어노는 한자>이다. 이 책은 어른들의 한자 학습에 초점을 맞춘것이라기 보다는 어린이들을 위해 재미있게 쓰여진 한자공부책이다. 어른들도 어려워하는 한자를 아이들에게 도대체 어떻게 가르치려고 하는가하는 의문을 이어령씨는 재미있는 한자 공부책으로 대답을 한 것이다. 이 책은 한자를 처음 접하게 되는 아이들에게 선물로 주면 아이들의 한자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 만약에 어렸을 때 한자공부방법의 길을 잘못들어 학자가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는 어른들도 이 책을 보았으면 한다. 무조건 덩치가 커서 어른이 되었다고 어린이들의 책을 무시하지 말고 한번 이 책을 읽어보라. 어린이 책이라고 우리가 알고 있는 내용만이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리만 잘해도 성적이 오른다 - 머리가 좋아지는 정리정돈
다츠미 나기사 지음, 김숙 옮김 / 북뱅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리만 잘해도 성적이 오른다.> 이 책은 제목을 보자마자 단숨에 읽어나간 책증 하나이다. 왠지 책 제목에서 <책상을 치워라>라는 일본 서적이 떠오르지 않는가? 나는 이 책을 보고 <책상을 치워라>가 문득 떠올랐다. 나는 그 책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그렇기에 이 <정리만 잘해도 성적이 오른다>라는 책을 의심의 여지 없이 읽어보았다. 사람은 일단 기본적으로 무엇인가 어지러져 있으면 괜시리 그 곳에 신경이 가기 마련이다. 이 책에서는 정리를 하는 방법을 소개해주고 있다.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 부모와 아이가 놀이를 하듯이 알려주고 있다. 나는 정리정돈에 관하여 여러가지 책을 읽어봤는데, 그 책에서 말하는 정리정돈의 방법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잘 버리기였다. 잘 버리기가 왜 정리정돈에서 가장 중요하냐면 사람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물건을 언젠간 필요한 물건으로 취급해 집에 쌓아놓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정작 사용되는 시기는 10년에 한번 정도? 그 10년을 위해서 집은 점점 자신이 쓰지 않는 물건으로 쌓여가는 것이다. 이 책 <정리만 잘해도 성적이 오른다>에서도 가장 중요시 하고 있는 정리 기술은 바로 버리기이다.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생각한 것이 나는 내가 책상을 정리하거나 방을 정리함에 있어 어떤 것이 정리냐고 생각하냐면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정리가 잘 된 상태라고 생각한다. 무엇인가가 널려져 있지 않고 불필요한 것은 전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왠지 다른 것이 눈에 띄면 그 쪽에 신경이 가기 때문에 적절한 집중을 방해한다. 오늘부터라도 주위의 쓸모없는 물건을 버림으로써 정리정돈으로 한 발짝 나아가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민주화운동 이야기 - 만화 현대사
이치석 지음, 서민호 그림 / 알다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옛부터 고난을 많이 겪은 민족중의 하나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한민국 이전의 시대에서는 외침으로 인해서 고난을 겪었고, 독립운동가들의 각고의 노력과 희생으로 인하여 어렵게 얻은 독립은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 방안으로 인해 그 의의가 흐려졌으니 말이다. 신탁통치는 겨우 배척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이게 왠 걸 이제는 밖이 아니고 안에 있는 사람들이 문제다. 바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등 자신들의 권력유지를 위해 독재를 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책은 독재자들에게서 우리가 민주주의를 달성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다. 이 책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쉽게 설명이 되어 있다. 그리고 책 자체가 칼라만화로 구성되어 있어  특히 어린이들이 흥미를 가지고서 재미있게 읽을만한 책이다. 물론 우리나라 민주화 이야기 자체가 독재에 대해 우리 윗 세대들이 피를 흘리면서 얻어낸 것이라 밝은 내용이 아니고 웃으면 볼 수 있는 그런 책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 세상에 살고 있는지, 그리고 어린이들이 행복하게 살수 있는 민주주의를 정착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리고 고통을 당하였는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민주화가 얼마나 어려웠는지 알아야 민주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힘썻던 사람들에게 진정으로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다음에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는 우리 어린이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적이 생긴다면 우리 윗 세대들이 투쟁하였듯이 지금의 어린이들도 좀 더 낳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기반을 이 책이 만들어 주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 독깨비 (책콩 어린이) 2
미도리카와 세이지 지음, 미야지마 야스코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책과콩나무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 이 책은 제목부터가 왠지 평화로운 일상을 말해주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든 책이었다. 이 책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다. 이 책은 일본에서 쓰여진 책으로 일본 사람들은 책을 많이 읽기로 유명하다. 투입이 많으면 결과도 좋다고 일본사람들은 또한 책을 많이 출판하기로도 유명하다. 이 책의 이야기를 보자면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초등학교 5학년인 시오리다. 이 아이는 책을 무척 좋아하는 꼬마 아이인데, 남들은 컴퓨터 게임에 몰두 하고 있을 시간에 시오리는 책에 몰두하고 있다. 책의 제목인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는 이 책의 주인공인 시오리가 자주 외치는 구호이다. 비 오는 날에는 시오리가 읽고 싶은 만큼 책을 읽을 수가 없기에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라고 시오리는 자주 외친다. 도서관에 가는 시오리에게 책과 도서관에 관하여 여러가지 이야기가 들어있는 책이 <맑은 날엔 도서관에 가자>이다. 이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우리나라에도 시오리 같은 애가 있을까하는 생각이었는데, 있었다. 우리가 익히들어 알고 있는 안철수도 책벌레였다. 강호동이 진행하는 무릎팍도사에 출연하여 옛날 도서관에서 매일매일 책을 빌리고 다음날 갓다주고 해서 도서관 서기한테 장난을 치지 말라는 소리까지 들었을 정도의 안철수. 그리고 현재 초등학생이라고 하면 퀴즈 프로그램에 나와 일등의 영예를 거머쥔 책벌레 아이가 있었다. 그 아이를 보자면 나이도 딱 시오리만큼의 나이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을 안 읽는다고 하지만 그래도 찾아보면 이런 사람들이 여럿 있는 걸 보니 우리나라의 미래도 마냥 어둡지 많은 안을 것이란 좋은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이희재 지음 / 청년사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다들 많이 보시지 않았는가? 내 어릴 적 독후감 목록의 단골 손님은 바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였다. 나는 어렸을 적에 책을 보지 않는 어린이중 하나였다. 물론 집에 있던 위인전만 살짝 보던 수준이었지 그 이외의 책이라고는 취미가 없던 아이였다. 으레 초등학교에서는 독후감 쓰기를 과제로 내준다. 나에게 특별한 하자가 없었기에 당연히 선생님께서는 나에게도 독후감 쓰기라는 거대한 과제를 내주었다. 어찌어찌 아무 책이나 읽어 독후감 쓰기를 들고 학교에 가면, 선생님은 아이들의 독후감을 발표시키셨다. 그러면 으레 가장 많이 나오는 책 들중 하나는 바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였다. 나는 아이들의 그러한 발표를 들어보아도 도통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가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기회가 닿아 책을 읽어 보았다.
 이 책은 우리가 어렸을 적에 읽었던 그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는 아니다. 왜냐하면 그 책은 브라질 작가인 '바르콘셀로스'가 쓴 책이고, 이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는 우리나라의 이희재씨가 쓴 책이다. 이 책은 만화책인데 컬러 그림체가 내 맘에 쏙 들어왔다.
 이 책의 주인공인 제제는 순수한 어린이이다. 마음씀씀이가 좋아 실직으로 인한 슬픔에 잠기신 아버지에게 노래선물도 한다. 결과는 안좋았다. 하지만 그 모습을 보면서 우리의 어린이들이 행하는 부모에게 혼나는 것들도 아이들이 진정 악의가 있어서 그렇게 한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라임오렌지 나무는 제제의 가장 소중한 친구이다. 제제가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위로받는 존재이다. 언제나 그 자리에서 제제를 기다리는 라임오렌지 나무로 있다.
 이 만화를 보면서 우리에게 모두 한 그루씩의 라임오렌지나무가 있었으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친철한 친구. 만약 자신만의 라임오렌지나무를 찾는다면 더 포근한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 중 하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