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 전 시집 : 진달래꽃, 초혼 - 한글을 가장 아름답게 표현한 시인
김소월 지음 / 스타북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사랑의 기록처럼

김소월의 시는 한 편 한편이 김소월의 내면을 통과한 감정의 결정체인것 같다. 이 책은 지금껏 잘 알려진 대표작뿐만 아니라 그동안 소개 되지 않았던 소월의 미발표 미수록된 시도 모여있다. 진달래꽃이나 초혼은 교과서 속에서 만났지만 이번 시집에서 다시 읽으니 사람 사이의 떠남, 기다림, 끝내 닿지 못하는 마음에 대한 기록인 것 같다. 소월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억압 속에서 민족의 언어와 정서를 지키려 했다. 소월의 시가 특별한 이유는 개인의 감정을 넘어서 그 시대 사람들이 공유하던 상실감, 슬픔, 절망 그럼에도 버티려는 마음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진달래꽃, 초혼 같은 대표작은 슬픈 사랑을 노래하는 동시에 한국적인 정조를 가장 아름답게 형상화한 시로 평가받는다.

감정의 끝자락

소월의 시를 읽다보면 우리말이 이렇게 아름다웠던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한글의 부드럽고도 깊은 정서가 시 안에서 유려하게 살아난다. 진달래꽃의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라는 문장은 시대를 뛰어넘는 미학을 담고 있다. 이 말은 어떤 번역도 어떤 현대어도 대신할 수 없다. 소월의 시는 억지스런 수사없이 문장의 리듬과 여백 속에 감정을 스며들게 했다. 한국어가 가진 정서적 표현력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 같다. 김소월이 남긴 시는 백 년 전의 언어인데도 오늘의 감정과 맞닿아 있다. 그 이유는 사람의 본질적인 감정은 변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지금

개인적으로 나는 소월의 시 중에서도 산유화를 가장 좋아한다.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라는 구절에 담긴 감정의 결은 헤아릴 수록 더 깊은 것 같다. 저만치 피어있는 산의 꽃처럼 나 역시 어떤 날엔 세상과 동떨어져 있는 듯한 고요 속에 머무를 때가 있다. 김소월의 시집을 읽으며 나는 왜 소월이 시대를 넘어 사랑받는 시인인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 시를 어렵게만 느끼는 사람에게도 소월의 시는 다정하게 말을 건넨다. 이 시집을 읽는 사람마다 마음에 남는 시 한 편쯤은 꼭 생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