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제의 수의 - 1453년 비잔티움 제국 마지막 황제를 만난 소년의 이야기
질 패튼 월시 지음, 김연수 옮김 / 히스토리퀸 / 2025년 1월
평점 :
📍1453년 비잔티움 제국, 마지막 황제를 만난 소년의 이야기
👑 2200년 역사의 로마제국이 멸망하는 순간
제국을 살리기 위해 사력을 다하는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와
황제의 부적이 되어준 소년의 삶...
잉글랜드 상선 코그 앤을 타고 항해 중이던
소년 피어스 바버는 배가 난파되어
튀르크인들어게 잡혔다가 가까스로 도망을 칩니다.
신의 뜻이었을까요...
황위 계승을 앞두고 있던 모레아주 영주,
데스파토 콘스탄티노스와 마주칩니다.
꿈을 꾸었다는 학자 플리톤,
독수리 곁에 작은 새 한 마리만 남을 때까지
하늘을 날다 먹구름을 통과하여 저 건너 빛으로 날아갔다는.
아마도 이런 징조를 당시에는 맹신했었나 봅니다.
작은 새는 소년이라고 정해지고,
브레티키라는 이름으로,
황제 곁에서 떨어질 수 없는 운명이 되어버립니다.
오스만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서방의 힘이 필요했던 황제는
교회통합을 받아들이고,
비잔티움 대주교뿐 아니라
강경파에게 환영받지 못합니다.
더구나 첫 황제와 이름이 같아
처음과 끝이 같으면 로마가 망한다는
예언으로 민심은 흉흉하고,
비록 플리톤의 꿈은 믿지 않지만
'황제의 부적'이라는 상징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안팎의 적들과 싸워야 하는데
국고는 비어 있고,
십자군 전쟁과 오스만의 잦은 침략으로
풍전등화와 같은 비잔티움.
탈출을 노리며 황제를 증오하던 브레티키는
황제의 측근에서 그를 지켜보며
점점 그를 안쓰러워하게 되고,
존경하게 됩니다.
더 이상 소년을 위험에 빠뜨릴 수 없어
놓아 주겠다는 황제의 제안에도
브레티키는 그의 곁에 남기를 자청하죠.
하지만,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오스만의 승리로
1453년,
로마제국은 역사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브레티키의 시선으로 서술하는
이 이야기는,
승자의 이야기도 아니고,
패자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어린 이방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람들의 이야기이지요.
영웅이 되려는 자, 배신하는 자, 섬기는 자,
전쟁을 즐기는 자, 사람을 지키려는 자,
신의를 다하려는 자, 다양한 군상을 통해
인간이란 어떠해야 하는가,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를 생각해볼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역사책 속 한 줄로 기록된 이 시대를
제 3자의 눈으로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특히 오스만과의 전투 장면 묘사는
눈에 장면이 하나하나 그려질 만큼 생생한데요,
작가노트를 보니 고증을 아주 철저하게 하셨나 보더라고요.
💡로마제국에 관심 많으신 분들이라면, 승자인 오스만제국의 관점이 아닌 로마제국의 관점에서 쓰인 이 책을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히스토리퀸 출판
#황제의 수의_질패튼월시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