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은, 괜찮은 죽음에 대하여 - 오늘날 의학에서 놓치고 있는 웰다잉 준비법
케이티 버틀러 지음, 고주미 옮김 / 메가스터디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죽음은 두렵다. 무섭다. 직접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직접 경험했다는 건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므로 얼마나 무서웠는지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죽음은 간접경험일 수밖에 없다. 가족이나 지인의 죽음을 지켜보며 슬퍼하면서 자연스레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자신이 언제 죽을지 알 수 있다면 준비를 하겠지만, 죽음은 갑자기 닥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죽음은 내게는 일어나지 않을 일로 생각하고 산다. 그래도 말기암 환자는 시한부를 통보 받으면 생을 정리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을 기대여명이라 부르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있다.
나도 죽음은 나와 무관한 일로 생각하고 살았다. 몇 년 전 시아주버님이 폐암으로 돌아가셨는데 사실 장례식에만 참여했지 어떻게 돌아가셨는지 지켜보지는 못했다. 항암치료를 위해 입퇴원을 반복했는데 병원에서 돌아가신 걸로 기억한다. 가까운 지인의 사망이지만 치료나 임종에 전혀 관여하지 못했다. 시어머니 연세가 올해로 101세이다. 언제 돌아가실지 모르겠지만 현재는 건강에 큰 이상이 없다. 하지만 혼자 계시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자식들이 집으로 모시려고 해도 절대 평생 살아온 집을 떠날 수 없다며 버티고 계시니 요양병원 같은 곳으로 모시는 건 언감생심이다. 친정 부모님도 팔순을 바라보는 연세이시다. 죽음을 준비해야할 어른들이 있다보니 관련된 책에 부쩍 관심이 생겼다.
네이버리뷰어스클럽 카페에서 진행한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은, 괜찮은 죽음에 대하여>라는 책의 서평단에 신청해서 책을 받아 읽게 되었다. 저자 ‘케이티 버틀러’는 기자출신으로 <죽음을 원할 자유>라는 자서전이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의사와 환자의 의사소통과 생애 말기 의료 결정을 조명하는 칼럼니스트이자 강연자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의 경력과 “오늘날 의학에서 놓치고 있는 웰다잉 준비법” 이라는 부제를 보니 믿고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의 사례는 모두 저자가 직접 취재, 인터뷰한 것이라 더욱 그러하다. 미국 책이라서 우리나라와 현실적인 차이가 있을거라는 우려도 있겠으나 그런 부분은 번역자가 자료를 첨부해 두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 책을 고른 독자라면 웰다잉에 관심이 많을 것이다. 프롤로그를 자세히 읽고 저자의 의도를 인지한 후 어떻게 읽을지 정하면 된다. 저자의 추천대로 독자가 필요한 부분만 발췌독 해도 되고 책 전체를 다 읽어도 된다. 독자가 죽음을 앞둔 환자든 그런 환자의 가족이든 이 책은 현실적으로 자세한 준비부터 마음을 관리하는 부분까지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유용한 책이 될 것이라 장담한다. 마지막 ‘결론’부분에 실린 저자의 말을 먼저 인용하며 강조하고 싶다.
p.226
나는 이 책을 통해 당신이 아직 시간이 있을 때, 건강상 발생하는 문제들을 잡을 수 있는 도구를 찾을 수 있기를, 그래서 잘 통합된 의료 치료를 받고 당신이 너무 약해졌을 때 과잉 치료를 받지 않도록 당신을 보호할 수 있는 누군가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나는 또한 당신이 결코 주눅 들지 말고, 자신의 삶의 주인으로 남아 당신 스스로의 목소리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 무엇보다도, 당신이 당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지켜 내면서 당신의 삶, 그리고 당신의 죽음을 설계해갈 수 있기를 바란다. 나는 당신이 어디서 죽음을 맞이하든, 용기있는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를 보며 책의 구성을 살펴보자.


1장부터 3장까지는 남아있는 생을 잘 보내는 데에, 나머지 4장부터 7장은 죽음을 잘 맞이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 장을 시작하기 전에 독자들에게 본인의 상황이 해당하는지 체크해 보도록 한다. 1장 좋은 생애 말기를 위해 필요한 것들 에서는 이런 체크리스트가 있다.

↑↑아직까지 생을 정리할 시기는 아니고 그저 노화현상 정도로 보인다.
인생후반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시점에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저자는 이렇게 정리했다.
1. 매일 30분간 걷기
☞ 폐활량이 좋아져서 뇌에 산소공급량이 많아지면 해마(기억능력 담당기관)의 크기가 확장된다.
2. 식단 점검하기
☞ 넉넉한 샐러드 섭취, 붉은 살코기와 설탕, 가공식품 줄이기
3. 가까운 동네 병원 의사 찾기
4. 분별력과 판단력을 갖는 연습 하기
5. 이웃과 가까이 하기
위의 당부 각각에 저자가 취재, 인터뷰한 사례들이 실려 있고, 각 장을 정리 요약하는 코너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두었다.

1장 마지막에는 ‘우리나라에서 알아두면 좋은 점’이라는 코너가 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법, 우리나라에는 없는 ‘의료대리인 제도’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 그 외 보험사나 국민건강보험 정보 등이 실려 있다. 이 부분은 없는 장도 있다.
지금까지 1장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서 이 책의 구성을 살펴보았고 나머지 장은 직접 책을 읽어보길 권한다. 우리는 누구나 죽을 것인데도 다른 것은 준비하고 계획하면서 죽음에 대해서는 그러지 못했다. 자주 언급되는 말이지만 웰다잉의 시작은 웰빙이다. 웰빙이 우리나라에서는 그저 좋은 음식 먹고 운동하는 것 정도로만 인식되어 있는데,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으려면 잘 사는 게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찾고 낼 수 있어야 한다. 저자가 말한다.
"당신의 목소리를 찾자. 노화, 죽음 그리고 의료에 대해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얘기할 수 있는 곳이 결코 병원만은 아닐 것이다. 당신의 집 부엌에서, 당신이 사랑하고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과 주고받는 말 속에서 최고의 대화가 이뤄질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부디 당신이 더 넓은 곳에서 목소리를 내고, 계속해서 당신의 이야기를 할 것을 나는 진심으로 응원한다."
이 책 전체를 읽으면서 나는 계속 의문이 들었다. 저자는 가능하다면 환자가 가장 편안해 하는 곳, 즉 집에서 임종을 맞이하도록 하자고 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현실에는 맞지 않다. 물론 저자도 그렇지 못하는 상황들을 예로 들며 요양시설이나 호스피스 병동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런 곳에서조차 집에서, 자신의 방에서 임종을 맞이할 수도 있단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어떤 환자의 경우, 가족들이 임종 전에 병실이 아닌 병원 내 작은 창고를 빌려 그곳을 환자의 집(환자가 사용하는 물건이나 가족사진들을 가져다 놓아)처럼 꾸몄다. 그리고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평화롭게 임종을 맞이했다. 이런 사례들을 읽으며 너무나 이상적이고 이론적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저자가 직접 취재한 실 사례들이라니 그저 놀라울 따름이었다.
내 주위 사람들을 보면 부모가 치매에 걸린 경우 거의 다 요양병원으로 보냈으며 비싸고 시설 좋은 곳에 입원시키면 효도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나에게 질문할 수밖에 없다. 만약 부모님이 치매에 걸린다면 집에서 간병할 수 있겠는가? 말기 암이나 중증질환인 경우 가정 호스피스를 선택할 수 있을까? 단박에 답이 나오질 않는다. 당장 부모님께, 앞으로 나에게도, 닥칠 일이다. 아무리 건강한 삶을 유지하도록 노력해도 죽음까지 막을 수는 없다. 교통사고처럼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가올 죽음에 준비할 수는 있다. 6장에서 저자는 좋은 죽음을 위해 이렇게 하기를 권한다.
감사하기!
사랑의 말 전하기!
용서하기!
용서 구하기!
작별 인사하기!
어떻게 보면 우리 모두는 죽음을 향해 하루하루 다가가고 있다. 남은 시간을 아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그러하지 못하다. 굳이 죽음을 준비한다는 각오까지는 아니어도 매일 감사하고 사랑한다고 말할 수는 있지 않은가. 잘못했으면 사과하자! 그리고 용서해주자! 이렇게 사는 것이 좋은 삶이자 좋은 죽음의 준비이니, 좋은 죽음과 좋은 삶은 반의어가 아니라 동의어이다.
**위 리뷰는 네이버 카페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