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의 모험 - 플라톤에서 피케티까지 상상력을 불어넣는 경제학자들의 도전
니알 키시타이니 지음, 김진원 옮김 / 부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시절이었던 것 같다. 정확히 그 과목 이름이 무엇인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경제에 대해서 최초로 배운 과목이었다는 것은 기억한다. 고등학교 1학년 이었다. 확실하다. 왜냐하면 2학년 때에는 이과였기에 경제를 배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었다. 40대의 나름 젊은 선생님은 칠판에 X축과 Y축을 그리고 수요와 공급에 대해서 설명을 했다. 내 코는 분명히 숨을 쉬고 있었는데, 뇌는 호흡곤란을 앓고 있는 것처럼 멈춰있었다. 긴급한 조치가 필요했다. 나는 잠시 눈을 감았다. 10초가 지났을까. 선생님은 나를 불러서 수업시간에 왜 자냐고 물어보며 매를 들었다. 그게 첫 경제와 관련된 수업 시간에 일어났던 사건이었다.

솔직히 숫자를 다루는 것은 좋아한다. 하지만 나는 복잡한 것은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순수한 숫자 놀음이 좋았고, 그것이 복리와 관련되어 있는 것, 경제와 관련되어 있는 복잡한 문제가 나오면 죄다 틀리곤 했다. 솔직히 아무리 쉬운 문제라 할지라도, 그런식으로 어딘가에 응용해서 숫자 놀음을 하라고 하면 틀리곤 했다. 그리고 특히나 경제 문제와 관련하여 수학 문제나 나오는 경우가 많았고, 경제 시험을 봤을 때도 수학문제를 푸는 부분이 적지 않았던 것 같다. 물론 경제 시간에 배운 수학은 거의 산수 수준이었지만, 개념 때문에 상당히 어려웠던 기억이 난다.

! 경제는 수학인가? 경제란 무엇인가? 우리 선생님들은 왜 수학을 경제이 전부인 것처럼 배우는가? 솔직히 이것은 고등학교만의 문제는 아니다. 경제학과를 나온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대학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이야기 한다. 그런데 과연 숫자를 다루는 것이 경제학인가?

수학은 표면이다. 경제학을 다루기 위해선 경제학과 관련된 철학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싶다. 수학은 그 경제학적 현상을 사람들을 설득하고 측정하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지, 수학이 곧 경제학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 세계에서는 수학이 경제학이 된 듯 싶다.

경제학의 근본은 사회 문제 해결이다. 만들어진 부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어떻게 부를 몽르 것인지. 그래서 인류를 풍요롭게 만드는 것. 그것이 경제학의 핵심이다. 하지만 오늘날 경제학은 어쩐지. 이런 것이 없는 것 같다. 수학은 나중에 배워도 상관 없는 것이다. 경제학의 핵심은 혹은 사람들이 경제를 탐구하게 만드는 기본적인 요인은 경제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인데, 우리는 수학이라는 배꼽이 경제의 근본보다 더 커진 느낌이다.

나는 <경제학의 모험>을 읽으며 경제학에 대한 나의 이러한 답답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었다. 솔직히 다행이다 싶다.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나의 경제학에 대한 갈증만이 아니라, 좀더 심도있는 경제학에 관한 모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이제까지 지긋지긋하게 들었던 나름 성공한 경제학자들. 즉 자신의 이론을 세상에 알리는데 성공한 사람들만이 아니라,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경제학자들 또한 알 수 있어서 좋았다. 경제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면 자신이 무엇르 공부하는 것인지 알기에 반드시 필요한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