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클래식이라는 습관 - 어려운 클래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
조현영 지음 / 현대지성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 KBS 클래식 FM 선정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 전곡 삽입 ✨️

📖

"클래식을 듣는 일을 거창하게 여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클래식이 매일 먹고, 자고, 웃고, 울고, 직장 생활을 하며 살아 움직이는 여러분의 하루하루에, 가볍게 동행하는 친구 같은 음악이 되었으면 좋겠다."

🎻

QR코드로 음악을 실행해 놓고 책을 읽었다. 그러다 좋아하는 곡을 만나면 반갑고, 또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된 내 취향의 곡은 플레이리스트에 저장해둔다. 언제든 다시 들을 수 있도록.

그렇게 만난 곡 중에, '지아조토의 알비노니 주제에 의한 아다지오'는 오랫동안 토마소 알비노니의 곡으로 소개되었다가 이제는 실제 작곡가인 지아조토의 곡으로 정정해서 부른다. 너무나 아름다운 멜로디의 음악.

'오펜바흐의 재클린의 눈물'. 재클린 뒤 프레가 다니엘 바렌보임을 만나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했지만 재클린이 28세의 젊은 나이에 다발경화증으로 아파할 때 바렌보임은 다른 사랑을 찾아 떠났다. 그녀는 긴 투병끝에 사망했다. 재클린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지으며 더 알려진 곡.

▪️

가을이니 10월과 11월의 클래식을 먼저 들으며 읽었다. 많이 알려지고 좋아하는 곡들이 눈에 띈다. 베토벤 5번 교향곡 운명,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 슈베르트의 세레나데, 베르디의 축배의 노래, 쇼팽의 녹턴, 파가니니의 카프리스24, 브람스의 헝가리무곡 5번, 리스트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곡 라 캄파넬라, 차이코프스키의 비창과 5번 교향곡, 드보르작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 도니제티 오페라 사랑의 묘약의 남몰래 흐르는 눈물까지.

한국인이 사랑하는 클래식을 담아서 365일을 아름다운 음악과 함께 하루를 시작하고 끝낼 수 있는 힐링의 책! 클래식이 어렵게 느껴지기보다는 어디선가 들어보았던 익숙한 곡들이 많아서 친근하게 접근할 수가 있다.

책의 마지막에서 설문조사로 뽑았던 클래식 순위가 365위까지 순서대로 적혀있고, 작곡가별 작품으로도 나뉘어 정리되어 있다. 내가 좋아하는 곡이 어디에 있는지 살펴보는 일도 소소한 재미다. 얼마 남지 않은 2025년의 날들에 클래식과 함께하는 시간을 더 즐겨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