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발명된 신화 - 기독교 세계가 만들고, 시오니즘이 완성한 차별과 배제의 역사
정의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대인과 이스라엘에 관한 주류적 담론에는 역사적 신화, 허구, 이데올로기가 뒤섞여있다. 이 담론에서 무엇이 역사적 사실이고, 허구적 신화이고, 이데올로기인지 가늠해야 유대인과 이스라엘에 관한 편향 인식을 교정할 수 있다."

▫️
이 책을 보자마자 3년 전쯤 읽었던 홍익희 작가님의 <문명으로 읽는 종교>라는 책이 생각났다.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의 탄생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로 700페이지가 넘었던 책이 어렵고 복잡했지만 언젠가 다음 책의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싶었던. 이 책에서 유대인과 유대교에 대한 역사적 맞물림과 신화적으로 굳어버린 이야기를 읽다보니 이번엔 조금은 쉽게 다가갈 수 있기도 했다. 평소라면 하루, 이틀이면 한 권의 책을 읽었지만 거의 일주일동안 이 책을 붙들며 문장들을 집중해서 읽어보고 검색도 해보며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시간들이었다.

▫️
이스라엘은 옛 이스라엘의 땅으로 돌아가 자신들의 나라를 건국한다며 이미 천 년 이상을 그곳에서 살아온 주민들을 무시한 채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들어가 살기 시작했다. 건국 전쟁, 6일전쟁 등 4차례의 중동 전쟁을 하면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주민을 축출한다는 인종주의가 만연해졌고 정치적, 경제적 우경화로 나아갔다. 그 사이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도 있었지만, 팔레스타인을 주변 국가들이 서로의 국가의 영토로 만들려고 하는 야심만이 가득해 어떤 아랍국가들도 팔레스타인의 독립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또한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극우 정당의 반대가 이어지며 암살, 테러, 인티파다(민중봉기)등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은 끊이지 않았고 분쟁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이러한 분쟁의 1차적 원인은 서구의 나라들이 그 지역을 자신의 세력권으로 두려고 했던 것이었고 특히, 영국이 러시아를 견제하며 아랍국가들과 모순적이면서도 중복적으로 맺은 협정과 약속들이 문제였다. 영국은 결국 팔레스타인 문제를 해결할 의지를 포기하며 유엔에게 반환하였고 불평등한 영토를 배분하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독립의 결의안을 탄생시켰다.

▫️
자신의 나라에서 쫓겨나 다른 나라를 떠돌며 박해받았다는 이스라엘은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유대 민족국가 기본법'을 통과시키며 팔레스타인 민족을 차별하고 배제하며 학살하고 있다. 그들은 나치 독일의 인종주의와 민족주의를 닮아있다. 신화처럼 이야기되고 있는 팔레스타인에서의 유대인 추방은 사실이 아니며 새로운 유일신교 운동인 서구 기독교의 등장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주도권 싸움이 일었고 기독교의 승리를 증거하기 위해 유대교를 이용했다. 시오니즘(고대 유대인들이 유대민족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대 민족주의 운동)은 결국 기독교에서 출발하고 강력해졌다. 60만명이나 집단 이주했다는 엑소더스 그리고 성서고고학을 통해 가나안 정복설을 입증하려고 노력했으나 결과적으로 그 지역에서 나온 유물과 유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오히려 과학적 탐사로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가나안 땅에서 살던 기존 주민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주인없는 땅'이라는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장도 터무니 없었고 역사적 기록으로도 그곳엔 이미 5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었던 것. 사실은 추방이 아니라 이슬람교로 개종했을 가능성이 크다고한다. 왜냐하면 유대교로서의 박해를 피하고 면세를 받으며 그 땅에서 살아가야할 이유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
지난 수 십년 동안 미국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며(오바마 대통령은 이스라엘 정착촌의 합법성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중동에 대한 새로운 입장을 표명했지만) 중동 지역의 아랍과 이슬람 세계를 흔들고 다른 나라의 안보마저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친이스라엘 정책은 반유대주의를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형태로 악화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몇 차례의 평화 협상과 분쟁을 반복하면서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의 장기집권과 함께 현재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은 계속되고 있다. 차별과 배제의 역사인 유대인 집단의 모습에서 우리나라 사회에서도 소수집단, 페미니즘 등 양극화를 불러 일으키며 우리라는 개념에서 다르다는 이유로 배제와 차별을 하고 있는건 아닌지 더불어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