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클래식 - 음악을 아는 남자, 외롭지 않다
안우성 지음 / 몽스북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음악은 소름이고 오글거림이다.
알고 보면, 우리는 결국 소름끼치고 오글거리는 순간을 만나기 위해 예술을 찾는다. 음악은 현재의 행복을 위한 가장 훌륭한 수단일 수도 있다. 그런 순간을 만났을 때 그 오글거림에 동화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어야만 온전히 감동할 수 있고 희열도 맛볼 수 있다. 당신은 예술을 통해 온전히 감동받을 준비가 돼 있는 사람인가."

.
작가는 이 책이 음악을 통해 전하고 싶은 감정의 본질에 대해 썼다고 했다. 그래서 제목이 남자의 클래식인 것은 겉으로 점잖아보여야 하고 속내를 드러내지 않으며 자기감정을 보이지 않는 특히, 한국남자를 경직되게 만드는 사회의 의식을 마음에 두고 쓰신 것 같았지만 사실, 남자 여자를 가릴것 없이 우리는 자기 감정을 들어내는데 익숙하지 않다.

'음악은 우리에게 무엇을 하는가 '

음악의 무한한 가능성 중에서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고 나의 감정에 충실하도록 도와주는 것 만큼 중요한 게 없을 것이다. 그런 음악을 통해 우리는 위로를 받으니까.

.
클래식 관련된 책을 꽤나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읽을 때마다 클래식에 관한 책은 색다른 매력이 있다. 이 책은 작가님이 솔리스트로 활동하는 성악가 바리톤으로서 클래식 곡 뿐만아니라 오페라 음악도 많이 소개를 해주고 있다.

그렇게 책을 통해 알게 된 현시대 최고의 테너, 요나스 카우프만의 노래를 QR코드로 듣고 그의 외모와 노래에 반했다😍 오페라 팬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는데 그의 수려한 외모도 한 몫 했겠지만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와 테너이지만 중후하고 굵은 목소리의 음색은 돋보이는 매력이 되었다고.

내가 아는 독일 가곡은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 (독일의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의 '척탄병'이라는 시에 곡을 붙인 작품) 이라는 음악이다. 독일어로 강렬하게 노래하는 음악이 좋아서 무작정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책에서 독일가곡의 딕션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가 다시 들어보기도 했다.

오래전부터 소장하고 즐겨듣던 CD의 주인공인 바이올린 연주자이며 영화 <파가니니, 악마의 바이올린> 에 출연한 '데이비드 가렛'에 대한 이야기도 반가웠다. 지금까지는 그가 크로스오버 연주자인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가렛은 스스로 편곡하여 클래식 바이올린의 연주로도 다앙한 곡의 연주를 가능하게 했다고 한다. 그는 영화에서도 니콜로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리스'를 직접 연주했다. 파가니니는 그의 연주가 너무나 완벽하여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그 대가로 바이올린 실력을 얻은 거라고 소문이 돌 정도로 대단한 연주와 한 현만으로도 연주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
책에서 작가의 자신의 이야기를 많이 들려주어서 더 좋았다. 음악에세이처럼 그의 경험과 생각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음악가의 교차되는 이야기는 흥미로웠으며 더 공감이 가기도 했다. '표현'에 대한 이야기에도 긍정의 끄덕임이 일었는데 감정을 감추는게 이성적인 사람인 것처럼 살아온 우리에게 오히려 부정적이든 긍정전이든 모든 감정은 맞고 틀리고의 문제가 아니며 나를 돌아보는 세계일수도 있다는 이야기에 공감했다.

🔹️
"누구나 매일 최소 한 번은 감미로운 음악을 듣고, 아름다운 시를 읽고, 훌륭한 그림을 감상하며, 한 마디라도 좋은 말을 해야 한다.''
ㅡ 괴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