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어린이 2023.가을 - 통권 82호, 창간 20주년 기념호
창비어린이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3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은 "창비 어린이"이지만
어린이나 청소년 독자를 위한 책은 아니고,
어린이나 청소년문학을 보는 관점,
괜찮은 청소년문학작품을 다루는 책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을 호에서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청소년 소설은 교재가 아니다> 와
<너도 그곳에선 다르게 읽는 법을 배우게 될 거야> 였어요.

특히 아래의 부분들이 많이 와닿았어요.

- 인물은 '구덩이'에 빠지기 전에 스스로 무덤을 파야 한다. 깊이 팔수록 서사에 필연적으로 얽매인다.
- 잘못된 길에 들어선 인물의 내면에 들어가 그와 함께 절망하고 호흡하며 탈출구를 더듬어간다.
- 절망의 과정과 속내를 제대로 말하고, 분노할 때 분노하는 것
- 자신의 처지에 묵묵히 순응하는 대신 확실하게 선을 넘으며 복수의 활시위를 당기는 이야기
- 청소년이 순수한 존재로서 타락한 세상을 구하거나 의연하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불완전하고 미숙한 채로 실수를 하고, 억울하면 울고 화내고 욕하고 부수는, 금기를 넘을 수 있는 인간임을 보여주는 것


장르문학을 포함한 문학 서사는
교육 콘텐츠가 아니다.

호주의 사서교사인 '매건 데일리'라는 분이

'아이들은 삶의 빛과 어둠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잘 다룬다.'

라고 말한 것도 문학을 꼭 교육 콘텐츠로
볼 필요가 없다는데 정당성을 부여해 준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문학에 흠뻑빠져
다른이들의 삶에 공감할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
AI의 시대에 진정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은 무슨 색일까요? - 2024 행복한 아침독서 선정 그림책 숲 31
밥 길 지음, 민구홍 옮김 / 브와포레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서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세상을 정의하는 자신만의 색을 이야기해요.

여러 사람들이 자신만의 색을 말하는데,
예술가가 앞에서 나온 색들을
자신만의 느낌으로 바꾸어 말해요.

'이래서 예술가다..' 싶기도 하고,
'역시, 정답은 없어' 싶기도 합니다.
​​
"우리는 어떤 눈으로 세상을 볼까?"
- 내가 하고 있는 일(직업, 취미)
- 내가 좋아하는 것
- 내가 자주 보는 것...

질문을 던지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며


우리는 이렇게 다르고,
서로 달라서 아름답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 활동 100 - 그림책 수업을 고민하는 선생님을 위한 활동 백과사전 그림책 학교 11
그림책사랑교사모임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수업에 활용하면 좋을 100가지의 활동이 소개되는데
가장 좋았던 부분이 “활동에 어울리는 그림책을 고르는 기준“ 이었습니다.
이 기준을 보면서 꼭 그림책 수업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수업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어요.

독서 전 활동, 글쓰기 활동, 거의 모든 독후활동 예시,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하기 좋은 다양한 활동과 그림책이
매칭되어 있어서 “그림책”을 기준으로 활동을 골라도 좋고,
“활동”을 기준으로 그림책을 고르기도 좋아요~~

시간,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독서동아리를
운영하고 싶으시거나, 교사끼리 그림책을 주제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운영하실때 “온라인 활동”에 소개된
활동을 직접 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림책활동 100이지만 그림책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수업장면에 적용할 수 있는 꿀팁이 가득해서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틈만 나면 인생그림책 21
이순옥 지음 / 길벗어린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그림부터 정말 인상적입니다.

벤치 나무 틈바구니로 고개를 내민 개망초

그 절묘함과 생명력..

괜스레 옆에 앉고 싶어요^^

자동차 배기구,

전봇대 아래,

화분 틈바구니,

커다란 바위 밑,

보도블록 틈바구니 등등

다양한 곳에서 꿋꿋이 뿌리내리고, 보란 듯이 사는

우리가 "잡초"라고 부르는 풀들이 나옵니다.

맞지 않은 옷을 입은 것 같고,

내가 낄 자리가 아닌 것 같고,

나를 "위한"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 같은데,

때론 "눈치 없게", "꿋꿋하게" 버티고 살아내는 풀들을 보며 힘을 얻게 됩니다.

주변 상황에 개의치않고, 내 갈길을 가는 작은 풀들이 대견하고 멋져보입니다.

너무 주변시선을 의식하다가 오히려 더 부자연스럽고, 엉뚱한 실수를 하는

제 모습이 떠오르기도 했어요.

아이들과 함께 읽으니

어떤 부분에서는 "와~~ 대단하다" 하고,

어떤 부분에서는 "아~~~ 귀여워~~~" 하네요.

저는 봄을 타는 편이라

봄만 되면 마음이 싱숭생숭하고, 힘들고 지치는 편인데

꿋꿋하게 사는 작은 풀들을 보며 충전되는 느낌이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포부터 나일까? 언제부터 나일까? - 생명과학과 자아 탐색 발견의 첫걸음 4
이고은 지음 / 창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초반에

간단하게 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행동으로

우리의 의지대로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체험해 보는 부분이 나옵니다.

우리가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은 대뇌뿐인데,

대뇌마저도

우리가 의식하기 전 이미 명령을 내린다는

연구결과를 덧붙여 다루면서

'헉..?!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대체 뭐지?'

라는 의문을 던져줘요.

하지만,

뒷부분에서 자율주행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목적지는 결국 "내"가 정한다는 부분을 읽으며,

가장 중요한 한 가지는 결국 "내가 한다"라는 진리를

깨닫게 해줍니다.

얇고 술술 읽히는 책인데,

내용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어쩜 이렇게 방대한 내용을 수리 술술 읽히면서

짧고 간단하게 줄여서 적어주셨는지?

이고은 선생님 반 학생이 되어 계속해서

수업을 듣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ㅎㅎㅎ


사람의 인권 인정, 임신 중단 허용 시점 결정의 기준이 되는 시점을

언제로 볼 것인가에 대해 다루는 부분이 인상깊었어요

근거를 보면 다 고개가 끄덕여지는데,

이 중에서 어떤 기준에 공감하는지 함께 읽는 사람들과

같이 얘기 나눠보고 싶은 부분이었습니다.


사고나 질병으로 신체나 기억의 일부를 잃게 되는 경우에

어떤 모습의 '나'까지 진정한 나로 볼 수 있을 것인가?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도 인상 깊었습니다.

10년 후에는 뇌와 수정체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세포는

모두 새롭게 교체되지만 우리는 서로 안부를 묻고 대화를 나눈다는 부분도

뭔가 머리를 맞은 느낌이었고요.

"변한다"라는 게 뭘까? 오래도록 만나지 못해도

그 사람을 기억하는 부분은 뭐라고 해야 할까?



개론서처럼 읽다 보면 하나씩 호기심이 생기는데,

그 부분은 관련 내용을 더 찾아보면서

깊이 있게 공부해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독자와 밀당하듯이 뭔가 들었다 놨다 하는 느낌으로

쉴 새 없이 생물이야기로 초대합니다~~


생명윤리를 주제로 토의토론을 해보고 싶은 교사와

생명과학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