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한 아들을 데리러 온 료타에게 유다이가 "육아는 공을 던지는 게 아니라 받는 거야"라고 하는 대사가 있었습니다. (p393,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모두 미래의 낯선 이들에게 의존하고 있다. 존재의 의미를 다음 세대에, 아이들에게 빚지고 있다. (p267)
"한 사회가 아이들을 다루는 방식보다 더 그 사회의 영혼을정확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것은 없다."(넬슨 만델라)<이상한 정상가족> 프롤로그에서
위대한 역사가는 의미 있는 역사적 사실로 엮은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독자의 내면에 인간과 사회와 자신의 삶에 대한 생각과 감정의 물결을 일으킨다. 역사는 사실을 기록하는 데서 출발해 과학을 껴안으며 예술로 완성된다.<역사의 역사> 프롤로그 중에서
한국인의 밥상 문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 해 줍니다. 외국인이 알아두면 편리한 한국 식당 이용 tip 도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