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이후 나는 무언가에 홀린 사람처럼 같은 시간, 같은 길 위에 서 있었다. 다음 날에도 한밤의 뜀박질은 계속됐다. 달리기라는 세계의 출발선에서 드디어 첫발을 뗀 순간이었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9

평범한 재즈카페 주인이던 무라카미 하루키는 야구 중계를 보다가 문득 소설가가 되어야겠다고 결심한다. 별다를 것 없이 평범한 날이었다. 내가 마주했던 5년 전 9월 19일도 그랬다. 조금도 특별할 것 없던 바로 그날, 달리기라는 세계의 문이 열렸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10

하루는 99퍼센트의 루틴과 1퍼센트의 이벤트로 구성된다. 루틴은 지구의 공전처럼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일상이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12

『해리 포터』에 비유하면 아침 러너는 그리핀도르형 인간에 가깝다. 양(陽)의 에너지를 뿜어내며 긍정으로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14

다시 『해리 포터』의 세계관을 빌려오면 이들은 슬리데린형이다. 음(陰)의 기운을 드리우며 차분히 스스로의 불안을 달래고 위로하는 영혼들. 그래서인지 한밤의 러닝은 조금 더 처절한 모습을 띤다. ‘달리기’보단 ‘뜀박질’이란 표현이 어울리는 이유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14

야행성 러너야말로 내게 가장 잘 어울리는 옷임을 이내 깨달았다. 밤의 뜀박질은 내가 그토록 갈망하던 위안을 품에 안겼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15

달리기는 시보다는 소설 쓰기에 가깝다. 시작부터 천재성이 폭발하는 재능 집약형 운동이라기보단 더 오랜 시간 공들여 나만의 레이스를 축조해가는 일이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22

달리기를 시작하고 매일 밤 미숙함에 발목 잡혔지만 바닥을 뒹굴면서도 시선은 더 나아질 내일을 향했다. 그 자체만으로도 달리는 명분은 충분했다. 허술하지만 행복했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23

새로움과 두려움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어내며 수많은 물음표 속에 살아가야 할 내 손에 작은 용기를 쥐어본다. 내딛는 한 발 한 발의 경험이 느낌표로 가득하길 빌며.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48

달리기는 1인분의 운동이다. 하지만 1인분들이 모여 만들어낸 힘은 기대보다 늘 두세 걸음 더 멀리 나아갔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58

반면에 달리기는 하루하루 달라진 나와 만나는 일이다. - <아무튼, 달리기>, 김상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ad8710f3b104958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ve written hundreds of memoirs. It’s necessary for big names like me. I believe it is called the imperative.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YS
There’s a feather on my pillow.
Pillows are made of feathers, go to sleep.
It’s a big, black feather.
Come and sleep in my bed.
There’s a feather on your pillow too.
Let’s leave the feathers where they are and sleep on the floor. - P3

DAD
Four or five days after she died, I sat alone in the living room wondering what to do. Shuffling around, waiting for shock to give way, waiting for any kind of structured feeling to emerge from the organisational fakery of my days. I felt hung-empty. The children were asleep. I drank. I smoked roll-ups out of the window. I felt that perhaps the main result of her being gone would be that I would permanently become this organiser, this list-making trader in clichés of gratitude, machine-like architect of routines for small children with no Mum. Grief felt fourth-dimensional, abstract, faintly familiar. I was cold. - P3

Very romantic, how we first met. Badly behaved. Trip trap. - P8

In other versions I am a doctor or a ghost. Perfect devices: doctors, ghosts and crows. We can do things other characters can’t, like eat sorrow, un-birth secrets and have theatrical battles with language and God. I was friend, excuse, deus ex machina, joke, symptom, figment, spectre, crutch, toy, phantom, gag, analyst and babysitter. - P14

What good is a crow to a pack of grieving humans? A huddle. - P14

But I care, deeply. I find humans dull except in grief. There are very few in health, disaster, famine, atrocity, splendour or normality that interest me (interest ME!) but the motherless children do. Motherless children are pure crow. For a sentimental bird it is ripe, rich and delicious to raid such a nest. - P15

I’ve drawn her unpicked, ribs splayed stretched like a xylophone with the dead birds playing tunes on her bones.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은 중국 상고시대 문명의 기원에 관한 것으로 신석기시대 말기(4000여 년 전)에서 시작해 상주商周 교체기 즉, 은주혁명殷周革命까지 1000여 년의 시간에 걸쳐 있다. - <상나라 정벌>, 리숴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61be63dd9fa4206 - P24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인류는 비로소 농업과 정착 생활을 하게 되어 다시는 야생동물처럼 사방을 떠돌며 먹이를 구하지 않게 되었다.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에 시작된 변화였다. - <상나라 정벌>, 리숴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61be63dd9fa4206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약 공장의 기계가 갖는 잠재력이

현재의 공장 시스템이 인간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과 결합된다면,

우리는 누그러지지 않는 잔혹함으로 전개되는 종류의 산업혁명에 처하게 될 것이다.

이 시기를 해를 입지 않고 지나가고자 한다면, 유행하는 이데올로기를 볼 게 아니라

사실관계를 봐야 한다.

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 1949년 - <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사이먼 존슨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4b9c6095d8e2493d - P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