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간관계의 기본으로 세 가지 덕목을 강조했습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부강(夫爲婦綱), 부위자강(父爲子綱)으로, 이 세 가지를 일컬어 삼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강은 벼리 강(綱)입니다. 벼리란 그물의 위쪽 코를 꿰는 큰 줄을 말합니다. 벼리를 잡아당겨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해야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큰 사물의 핵심이 되는 부분, 즉 근본이 되는 부분을 벼리라고 말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3

거추장스런 조리과정도, 값비싼 양념도 요하지 않으면서도 기막힌 맛을 내는 상추쌈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의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문화권으로 비교적 식문화가 닮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찾을 수 없는 문화이지요. 호박잎, 케일, 콩잎도 있지만 대표적인 쌈 채소는 역시 상추입니다. 상추쌈은 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 문화가 빚어낸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8

즉 상추는 生菜(생채)라는 한자어가 변화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익히지 않고 날로 먹는 채소라는 뜻에서 생채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그 발음이 상치, 상추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생채는 익히지 않은 나물이라는 의미로만 쓰이게 되어 무생채와 같은 식으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52

양치: 이를 닦고 물로 입 안을 가심. 한자를 빌려 ‘養齒’로 적기도 한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61

양지(楊枝):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 불교도들에게 냇버들 가지로 이를 깨끗이 하게 한 데서 유래한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62

그러나 1950년대까지만 해도 ‘지’란 형태가 새로운 단어 형성에 참여하며 여전히 생명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오이지나 단무지를 보면 알 수 있지요. 그에 비해 지금은 과거보다 ‘지’란 말의 쓰임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68

앞장서서 사람들을 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가는 방향을 뒤쫓으며 확인하는 것이 국어학자의 역할이라 생각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81

저는 무분별한 외래어 남용도 문제이지만 외래어는 가능한 한 배격하고 고유어로 바꾸어야 하며 심지어 이미 들어와서 널리 쓰이는 단어까지도 모두 고유어로 순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자어를 고유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많은 논쟁이 있었기도 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83

제가 생각하는 국어학자 역할은 이렇습니다. 앞장서서 "이쪽으로 오시오" 하고 사람들을 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가는 방향을 뒤쫓아 가면서 확인하는 거죠. 다만 그 방향이 어딘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 "이건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라고 이야기할 수는 있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사람들의 선택을 바꿀 수는 없습니다. 제 생각이 틀렸고 사람들의 방향이 맞는 것일 수도 있으니까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87

인식이 바뀌어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 말들이 규범의 예시로 남아서 교육되는 현실은 역설적입니다. 지금처럼 인권감수성에 대한 인식이 없던 100년 전 만들어진 규범들에 대한 개정이 필요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91

새끼를 부를 때 쓰는 ‘아지’와 ‘아기’는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지만 원칙적으로 동물의 경우에는 아지, 사람의 경우에는 아기로 구분하여 써야 합니다. 물론 아지는 동물만이 아니라 바가지(박+아지), 싸가지(싹+아지), 모가지(목+아지)처럼 사물에도 붙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작은 것이라는 의미를 넘어 비하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점차 아지라는 말이 생명력을 잃고 강아지, 송아지, 망아지와 같이 일부 단어에만 굳어진 상태로 남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92

예전 사람들은 돼지를 돝이라 하였고 고양이는 괴라고 하였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94

정확한 표현은 개발괴발이 맞습니다. 이때의 괴는 무엇일까요? 바로 고양이입니다. 이 괴에 앙이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괴앙이가 되는데 모음 ㅚ의 ㅣ가 뒤 음절로 넘어가 고양이라는 지금의 형태가 만들어졌지요. 괴란 단어가 쓰이지 않게 되면서 사람들은 개발괴발이란 표현을 이해할 수 없게 되었고 급기야 ‘괴’를 ‘새’로 대체하여 개발새발이라고 하였지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95

그 나무는 도끼에 찍혀 죽지도 않을 것이고 아무도 그 나무에 해를 가하지 않을 텐데. 쓸모없음이 어찌 괴로워 할 일인가?"

_《장자》의 〈소요유〉중에서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일치기로
가보고 싶구나
천국에 - P6

일어나긴 했는데
잘 때까지 딱히
할 일이 없다. - P17

연명 치료
필요 없다 써놓고
매일 병원 다닌다 - P20

손가락 하나로
스마트폰과 나를
부리는 아내 - P26

영정 사진
너무 웃었다고
퇴짜 맞았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추장스런 조리과정도, 값비싼 양념도 요하지 않으면서도 기막힌 맛을 내는 상추쌈은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의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문화권으로 비교적 식문화가 닮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찾을 수 없는 문화이지요. 호박잎, 케일, 콩잎도 있지만 대표적인 쌈 채소는 역시 상추입니다. 상추쌈은 우리 민족 고유의 음식 문화가 빚어낸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8

즉 상추는 生菜(생채)라는 한자어가 변화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익히지 않고 날로 먹는 채소라는 뜻에서 생채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그 발음이 상치, 상추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생채는 익히지 않은 나물이라는 의미로만 쓰이게 되어 무생채와 같은 식으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대적 개념이 생겨나는 원리를 태극의 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태극기 안의 태극 문양(음과 양이 나뉘어져 있는 모양)을 태극이라 생각하지만 원래 태극이란 극이 없는 상태, 즉 음과 양이 나누어지기 이전의 상태를 말합니다. 즉 우주가 만들어지기 이전 태초의 상태가 태극인 것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1

그런데 이 태극 상태에서 한 번의 움직임이 발생했는데 이것을 양(陽)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양이라는 개념이 생기자 그 반대의 상태,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상태를 비로소 음(陰)이라고 표현하게 되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2

즉 음과 양의 극이 나뉘지 않은 태극 상태에서 양(움직임)이 생김으로써 음(멈춰 있음)이란 개념이 생겨났는데 이것을 도식화한 것이 바로 태극 문양입니다. 양과 음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이지만 맞서고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품고 있는, 그래서 서로 의존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2

유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간관계의 기본으로 세 가지 덕목을 강조했습니다.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부강(夫爲婦綱), 부위자강(父爲子綱)으로, 이 세 가지를 일컬어 삼강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강은 벼리 강(綱)입니다. 벼리란 그물의 위쪽 코를 꿰는 큰 줄을 말합니다. 벼리를 잡아당겨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해야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큰 사물의 핵심이 되는 부분, 즉 근본이 되는 부분을 벼리라고 말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aumgartner is sitting at his desk in the second-floor room he variously refers to as his study, his cogitorium, and his hole. Pen in hand, he is midway through a sentence in the third chapter of his monograph on Kierkegaard’s pseudonyms when it occurs to him that the book he needs to quote from in order to finish the sentence is downstairs in the living room, where he left it before going up to bed last night. - P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