겪어보지 않았다면 이런 생활이 외로울 거라고 생각했을 테지만 사실 난 외롭지 않았다. 마야가 한 번에 네다섯 시간씩 사라지고 없어도 괜찮았다. 내겐 책이 있었고, 음악이 있었으며, 그즈음에는 대학 때 알았으나 만남이 끊긴 옛친구들에게 편지도 쓰기 시작했다. - P52

나는 서른한 살이었고 내 일을 좋아했다. 내 삶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고, 마야와 함께 있는 한 그저 그 곁에 있는 것만으로도 나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에, 다른 사람의 예술에 소소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느꼈다. 나도 자신이 가는 길의 일부라고, 마야는 언젠가 내게 그렇게 말했고, 나는 그 말을 믿었다. - P53

설거지를 마친 뒤 마야는 식탁에 앉아 잠들기 전 마지막 담배를 피웠고, 그때 삼면화 얘기를 꺼냈다. 함께 일하는 미술관장이 그 작품을 전시에 쓰고 싶어한다며 내게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나는 달리 무슨 말을 할 수 있을지 몰라서 그냥 괜찮다고 말했다. 마야는 고개를 끄덕였다.
"하지만 이건 네가 가지면 좋겠어." 마야가 정물화를 내밀며 말했다. 그제야 깨달았지만 그건 근사한 그림이었다.
"왜?" 나는 물었다.
"왜냐면," 마야는 돌아서서 부엌에서 나가며 말했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그림이라서야." - P62

여름이 끝나갈 무렵 마야는 단기간에 연이어 작업한 그림 세 점을 내게 주었다. 삼면화였다. 마야는 내가 14세기 이탈리아 화가 조토의 열렬한 팬이며 조토가 파도바의 아레나 예배당에 그린 프레스코화를 특히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그래서 마야는 조토의 그 그림들을 본보기로 하여 그가 그린 하늘의 짙푸른 색감과 복합적이지만 단순하게 표현된 종교적 주제를 완벽히 포착해 자신의 작품에 담았다. - P44

"이십대는 자기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탐색하는 시기인 것 같아. 하지만 삼십대는 최고의 성과를 내는 시기지." - P45

나는 잔을 내려놓고 마야를 바라보았다. 벌써 마야가 떠나버렸다는 느낌이 들었다. 눈빛이 어딘가 달랐다. 아마도 그때가 누군가와 함께 있으면서 그런 감정을 느낀 - 이미 가버린 사람을 바라보고 있다고 느낀 - 내 인생의 유일한 순간이었을 것이다. - P58

이런 점진적인 멀어짐은 그해 여름 내내 일어나고 있었지만 나는 그 순간이 되어서야 그것을 물리적으로 감지했다. 이제 방안에는 다른 기운이, 다른 분위기가 흘렀다. 마야는 앞을 바라보고 있었고 나는 뒤쪽 배경 어딘가에서, 멀리 기차역 플랫폼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 P59

그날 밤에 아파트에서 마주앉아 언제 이 집에서 나갈지, 언제 라이어널에게 말할지를 비롯해 이주와 관련한 얘기를 나누던 중 마야가 잠시 사라졌다가 작은 유화 한 점을 가지고 돌아와 내 앞 탁자 위에 올려놓았다. 그해 여름에 우리 아파트 안의 정물을 그린 그림이었다. 와인 한 잔, 부엌 개수대 위에 놓인 조그만 검은색 라디오, 담배 한 갑, 그리고 창틀에 올려놓은 다육식물 화분 몇 개.
마야는 그게 어떤 그림인지, 그걸 왜 내게 주는지 전혀 말하지 않았다. 그저 식탁에 그걸 올려놓고 부엌에서 나갔다.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