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19세기 유럽 빈곤층이 먹던 호밀빵과 2020년 한국에서 시판하는 호밀빵은 재료나 기법, 보존 환경 등 모든 면에서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사실 어린 시절의 내가 맛보고 싶었던 것은 물리적인 검은 빵 자체가 아니었다. 알프스 고원의 전나무들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 향긋한 냄새가 나는 마른풀 침대와 천장에 난 창문으로 올려다보는 별하늘, 병약하지만 상냥하고 예쁜 금발 머리의 단짝 친구, 학교에 가지 않고 온종일 염소들과 뛰노는 삶…… 한마디로, 나는 현실의 내가 절대로 가질 수 없는 모든 것을 ‘검은 빵’에 대입했던 것 같다. 그렇다면 현실에서 가질 수 있는 빵은 이미 내가 원하는 검은 빵이 아니라는 뜻이다. 역설적이게도, 내게 검은 빵이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비로소 존재하는 것이다. -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53027 - P28

호밀빵, 그중에서도 천연 발효한 반죽으로 만든 호밀빵을 뜻한다. ‘흑빵’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호밀은 춥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밀보다 재배가 쉬워서 예로부터 유럽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특히 북유럽과 러시아 등지에서 호밀빵을 많이 먹었고, 그 외 지역에서도 서민층이 쉽게 얻을 수 있는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통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먹는 것’에 가까웠다. 호밀은 밀과는 달리 특유의 시큼한 맛과 향이 난다. -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53027 - P28

오늘날에는 제빵 기술의 발달로 그나마 먹기 좋을 만큼 부드럽게 개량된 호밀빵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섬유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혈당 지수가 낮기 때문에 당뇨 환자나 다이어트 중인 사람에게 좋다. 꼭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그 담백한 맛과 특유의 알싸한 향 때문에 찾는 사람도 많아졌다. 샌드위치를 만들어 먹으면 맛도 좋거니와 포만감도 오래가서 한 끼 식사로 그만이다. -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53027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