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주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01
에밀 졸라 지음, 유기환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도 이글거리는 맹화 너머로, 싱그러운 희망이 더없이 맑고 고요한 하늘 속에서 다시 태어나고 있었다.

그것은 영원한 자연, 영원한 인류의 신선한 소생이었다.

그것은 희망을 품고 근면하게 일하는 사람에게 약속된 새로운 청춘이었다.

그것은 수액이 오염되어 잎을 노랗게 물들이는 썩은 가지를 잘랐을 때

푸르른 줄기를 힘차게 내뻗는 생나무였다.

p.706

우리집 베란다에 남편과 아이들이 키우는 식물들이 있는데

요즘 펜지들이 자꾸 줄기가 얇아지고 잎이 누래졌다.

남편은 줄기를 다 잘라주자고 하지만

펜지를 넘 좋아하는 아이들은 그러지 말아달라고 애원했다.

하지만 펜지 상태가 점점 더 나빠지자

아이들도 아빠의 의견에 동의했고 남편은 과감하고 중심 가지만 남기고 모두 다 잘라버렸다.

그 모습이 얼마나 볼품이 없던지 나는 이제 펜지가 완전히 끝났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조금 시간이 지나자 전보다는 확실히 더 튼튼한 줄기가 나왔고

더 풍성해보이는 꽃이 예쁘게 피었다.

더 나은 상황을 위해서

지금의 것들을 과감히 포기하고 버리는 것이

해결책일수 있다는 것을 가족들을 통해 경험해서인지

<패주>에서의 마지막은 내게 무척 희망적으로 느껴졌다.

비록 너무 많은 것을 잃어버리고

다 부서지고 황폐해져서 죽음과 같은 상황인것 같지만

잃어버린 것의 소중함을 기억하며

성실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묵묵히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통해

더 나은 미래가 만들어지리라는 확신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