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슨트처럼 미술관 걷기 - 세상에서 가장 쉬운 미술 기초 체력 수업
노아 차니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5년 3월
평점 :
💬
"갑자기 어딘지도 모르는 전 세계 미술관 중 한 곳에 뚝 떨어졌는데, 어떤 사람으로부터 주변 미술품에 관해 자세하게 설명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상상해보자. 이 책을 읽고 나면 어렵지 않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자신감 넘치는 선언은 일반인들의 불안과 혼란을 정확히 포착하며, 미술 감상의 본질을 되짚어준다.
저자는 미술의 역사적 맥락을 새롭게 조명한다. "과거의 이론가들은 예술, 그러니까 궁극적으로 문명이란 기본욕구가 충족된 후에야 생겨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동굴에서 살던 선사시대 사람들은 사냥과 채집으로 먹고살고, 동물들을 따라다니고, 동굴곰에게 잡아먹히지 않으려고 애쓰는 상황에서도 예술을 창조했다." 이를 통해 예술이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임을 강조한다.
미술 감상의 어려움 중 하나는 시각언어의 이해이다. "서양 전통 미술 작품을 잘 해석하려면 이 '시각언어'를 다시 배워야 한다. 상징에 대한 시각언어는 유럽 미술과 그 영향을 받은 북미 지역에서 놀랍도록 일관되고 일정하게 등장한다. 정의라기보다 '한 쌍의 열쇠=성 베드로'처럼 일련의 방정식에 가깝다." 저자는 복잡해 보이는 상징 체계를 이런 방식으로 단순화하여 접근성을 높인다.
미술 용어의 장벽에 대해서는 유쾌한 비유로 접근한다. "미술의 세계에 입문하려면 우박처럼 쏟아지는 전문 용어를 용감하게 무릅쓰고, 그 용어들이 실제로는 전혀 무시무시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우박을 뚫고 달려서 목적지에 도착한 후 폭풍우에서 살아남았다는 사실을 알아차린다면 가장 좋을 것이다." 미술 용어들을 "우박"에 비유함으로써, 그것이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결국은 극복 가능한 장애물임을 보여준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추상미술에 대한 "일정한 형식이 있는 미술품을 바라보는 일은 사실 수동적인 서사 읽기의 한 형태다... 그러나 캔들 박사는 일정한 내용을 표현하는 서사와 예측 가능한 시각 요소를 모두 제거한 추상미술을 볼 때야말로 두뇌가 적극적으로 문제 풀이를 해야 한다고 획기적인 주장을 한다." 이는 추상미술이 더 "쉬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적극적인 감상을 요구한다는 점을 말한다.
"어떤 작품을 보고 감동하거나, 작품을 전하기 전과 후로 다른 무엇인가를 느끼는가? 작품을 보기 전에는 생각하지 않았던 일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가? 그렇다면 잘 만든 작품이고, 그 작품을 좋아해도 '안전하다'." 이 간결한 문장은 미술 감상의 본질이 지식이나 전문성이 아닌, 작품과 감상자 사이의 진정한 교감에 있음을 상기시킨다.
"도슨트처럼 미술관 걷기"는 예술과의 관계에서 자신감과 즐거움을 찾도록 안내하는 지혜로운 안내서이다. 노아 차니의 유쾌하고 명확한 언어는 미술이 결코 특권층만의 것이 아닌, 모두에게 열려 있는 세계임을 일깨워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