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어떻게 난세의 승자가 되었는가 - 대항해시대의 일본 전국시대
아베 류타로 지음, 고선윤 옮김 / 페이퍼로드 / 2024년 2월
평점 :
📍60
인질 시절의 이에야스는 객장으로서 어느 정도의 대우는 받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향을 떠나 부모와 떨어진 생활을 해야 했고, 미카와의 가신들은 이마가와 가문을 위해 최전선에서 오다 가문을 상대 해야 했습니다.
만약 미카와의 가신들이 이마가와 가문에 반기를 들면 이에야스는 목숨을 잃습니다. 당시 이에야스의 정신 상태를 상상해보면, 항상 죽음을 걱정해야 하는 불안과 긴장감에 시달렸을 것이 분명합니다. 그래서 이에야스가 인내와 참을성을 가진 인격의 소유자로 거듭난 것이 아닌지 추측해 봅니다
⠀⠀⠀
📍131
이에야스는 노부나가의 명을 받아서 어쩔 수 없이 아내와 아들을 살해했을까요? 아니면 자발적으로 그들을 죽였을까요? 연구자마다 의견이 분분합니다. 어쨌든 최종 판단은 이에야스 본인이 내렸을 겁니다.
⠀⠀⠀
📍144
유럽의 조선술로 만든 대형선. 이는 노부나가가 예수회 혹은 포르투갈의 지원을 받고 있고, 그들의 힘으로 일본 내 기존 기득권 세력과 정면으로 대립했다는 사실을 방증합니다.
⠀⠀⠀
📍171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는 목숨을 잃었습니다. 혁명으로 일본을 강국으로 키우고자 했던 노부나가의 뜻은 어이없이 좌절됐습니다.
그렇다면 이에야스는 노부나가의 '실패'에서 무엇을 배웠을까요? 노부나가는 예수회,스페인과 손을 잡고 국가 변혁을 목표로 하였으나 최종적으로 그들과 결별했고, 그 결과 혼노지의 변이라는 최후를 맞이합니다. 이 과정을 지켜 본 이에야스는 무엇보다도 예수회와 스페인을 믿을 수 없다고, 그들에게 의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을 것입 니다.
⠀⠀⠀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왜 승자가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정치적 관점에서 보면,
오랜 전쟁을 끝내고 평화로운 시대를 열었다는 점에서 승자로 평가받습니다.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뒤를 이어 천하를 통일했으며, 에도 막부를 열고 260년 이상 지속되는 평화로운 시대를 구축했습니다.
⠀⠀⠀
🔹군사적 관점에서 보면,
뛰어난 전략가이자 지도자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여러 차례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특히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가문의 패권을 확립했습니다.
⠀⠀⠀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이에야스는 쇄국 정책을 통해 일본의 경제를 안정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해외와의 교류를 제한하고 농업과 상업을 발전시켰습니다.
쇄국 정책은 일본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
🔹문화적 관점에서 보면,
유교를 바탕으로 한 사회 질서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유교의 예절과 도덕을 강조하고, 교육과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유교를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자유를 제한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
💬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끈질기고 인내심이 강한 인물이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목표를 향해 나아갔으며,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했습니다.
정치, 군사, 경제, 문화, 개인적인 면에서 모두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일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