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원하는 것을 모른 채 부모는 하고 싶은 말만 한다
오연경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은 애정 표현만으로도 아이를 변화시키는

10만 부모의 양육해결사 '육아메이트 미오'의 교감 법칙

 

아동 발달 및 부모 교육 전문가 오연경 박사님의 책이라니

그 이름을 듣자 마자 솔깃 했던 것이 사실 ㅎㅎ

 

네*버 부모i 의 부모 교육 칼럼을 챙겨 읽었던지라

오연경 박사님의 책에 관심이 있었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안정적인 애착이 중요하다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근데 상당히 추상적인 개념이라 딱 와 닿지 않는 것도 사실이지요.

 

아이에게 사랑을 표현하지 않는 것도 위험하지만

아이가 부모에게 사랑받는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

 

애정 표현은 안정 표현을 위해 갖춰야 할 기본이지 전부가 아니기에

애착의 안정성은 애정 표현과 훈육이 함께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어요.


밑줄 그으면서 읽고 싶었던

'아이가 보내는 애착 위험 신호'

 

아이들은 부모에게 '엄마 내가 힘들어요, 나를 사랑해주세요' 라고 싸인을 보낸다고 합니다.

 

불안 , 무반응, 우울, 분노, 애정확인, 인정 욕구, 집착

 

그래서 아이에게 다음과 같은 신호가 나타난다면 부모의 사랑을 의심받고 있다는 위험징후이니

아이와의 애정성을 높이는게 신경을 써야 한다고 해요.

 

내 아이의 모습에서 혹시 이런 모습이 보인다면,

조금 더 세심하게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봐야겠어요.

 

 

두번째 챕터에서는 아이에게 독이 되는 사랑, 약이 되는 사랑을 읽어 보았어요.

 

이 장에서는 부모의 양육 신념과 양육태도를 언급하며

애정성과 훈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요

아이의 현재 행동을 바꾸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볼 것.

 

부모는 몇 가지 타입으로 나뉠 수 있는데

허용적 부모, 권위적 부모, 방임형 부모,

과연 나는 어떤 부모일까 ..

 

아낌없이 주기만 하는 허용적 부모의 치명적인 맹점과

부모의 권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

 

일방적으로 리드하는 권위적 부모에게는 아이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네요.

 

무기력한 육아라 불리는 방임형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가

집밖에서 사랑을 찾으며 분노하는 이야기를 읽고나면

부모로서의 책임과 사랑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음을 생각하게 했어요.

 

책장을 덮으며 자꾸 머릿 속에 떠오르는 문장 하나...

 

"아이가 원하는 사랑의 양에는 끝이 없습니다. "

그래서 중요한 것이 애정표현의 타이밍!!

 

아이의 언어로 사랑해주면

아이가 되돌려주는 사랑으로 진정한 육아의 행복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어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