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질문 1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문학사에

이 분이 남긴 발자취는 흐트러짐이 없지요.

조정래

우리가 사는 시대의 문제를 거침없이 꼬집고

신랄나게 비판하는 조정래 작가가

신작으로 우리 곁으로 돌아왔습니다.

국민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국가가 있은 이후 수천 년에 걸쳐서 되풀이되어온 질문,

그 탐험의 길을 나서야 하는게 너무 늦은 것은 아닐까...

책의 서두에는 작가의 말이 묵직하게 담겨 있습니다.

국가를 삼켜버린 권력의 핵심에는 과연 무엇이 있는가?

거대 자본에 휘둘려 인간을 소외시킨

현 상황을 통찰해볼 수 있는 작가의 혜안은 무엇일까요...


'천년의 질문' 이란 제목에서 궁금증이 증폭됩니다.

일찌기 플라톤은

국민이 정치에 무관심하면 가장 저질스러운 정치인들에게 지배당한다고 했습니다.

솔직히 저 역시도 정치라고 하면

골치아프고 내가 잘 모르는 영역이라고 거리를 두곤 했는데

제가 취업을 해야 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보니

내 생활 곳곳, 내가 사는 삶의 치밀한 구석 구석까지

바로 정치와 연결되어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요.

전문적이고 깊은 지식까지는 못 할지라도

그래서 국민은 늘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구나 라는

생각의 전환점이 된 일들도 몇 번이나 있었구요,





책은 시사주간지 기자 장우진과

그의 대학 후배이자 사회학과 시간강사 고식민,

다니던 출판사가 폐업되어 생계가 곤란한 아내

고향 선배이자 국회의원 윤현기 등등

각기 다른 인물이 등장합니다

꽤나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벌이는 충돌과 갈등이

후반부로 갈수록 폭발적인 절정으로 치다르게 됩니다.

도시의 빌딩들은 새로 생기는 것일수록 거대하고 우람하고 호화스러워졌다.

크기와 높이와 치장미를 다투듯 하고 있는 빌딩들은

내가 얼마나 부자인지 보라며 저마다 거드름을 피우고 있었다....

결국 서울 시내 대로들은 부자들이 노골적으로 부를 과시하는 부의 향연장이었던 것이다.

이 나라 부의 60퍼센트 이상이 서울에 몰려 있따는 것을 입증하는 것처럼.... "

이야기처럼 시작되는 대한민국, 서울에 대한 묘사는

사실 팩트체크였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서울의 모습이 그러하고,

또한 그 어조에는 적지 않은

꾸짖음도 느껴지는 듯 했습니다.





20억쯤되는 거액의 유혹을 받는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할까 ....

1권의 5화, '돈이 부리는 재주'가 어떤 것인지

적나라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돈과 명예를 위해서라면

가족마저 등지고 마는 척박한 시대에

한 가닥 양심을 끝내 버리지 못한 이들은

과연 어떻게 살아 남아야 하는걸까...

책의 곳곳에는 현실과의 싱크로율 높은 이야기가

수위를 넘다들며 때론 과감하게,

때론 능수능란하고 은유적으로 드러나고 있었습니다.

몇 해전 교육부 고위직의 "민중은 개 돼지다" 발언 파문. 기억하시죠?

이후에 영화 내부자들에서도

유력 일간지 논설위원의 입에서도 같은 말이 나왔는데요.

이 책에서 다시 한번 언급되고 있어서

헛웃음이 나왔습니다.

그래, 저런 상스런 말을 뱉은 작자들이 있었지...

그래, 잊지 말아야지..

우리가 잊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지...


국가란 무엇인가?

톨스토이는 '국가란 폭력이다' 라고 했고,

법률 이론가 스푸너는 '국가는 강도다' 라고 말했으며

사회학자 틸리는 '국가는 가장 강력한 조직적 폭력집단이다' 라고 했다.

작가 조정래가 당신에게 묻습니다.

'국가란 무엇인가'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제 당신이 함께 고민해야 할 일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