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독소 쇼크
박명규.김아름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극적인 책 제목에 끌려 읽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냥 당도 아니고 당독소라니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하는 독소에 당이 합쳐져 정말 신체에 최악의 존재인 것처럼 보입니다. 게다가 쇼크라니요. 쇼크로 인한 죽음 즉 쇼크사가 떠올랐습니다. 예비 독자의 관심 한 번 제대로 끌고자 이렇게 제목을 지었나 싶었는데, 당독소라는 용어가 이미 사용되고 있었더라고요. 몰랐습니다. 글쓴이 한 분은 당독소 다이어트라는 책을 집필하신 바 있고, 다른 한 분은 당독소연구소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위험성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계시다고 하네요. 


 서구 사회에서 대중화되었던 당독소 개념을 2000년대 초에 글쓴이가 본격적으로 관심 갖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당에서 유래한 독소로서 우리가 먹은 음식 중 몸에서 필요한 영양소를 다 쓰고 남은 당분이라고 합니다. 이어 당독소가 유해한 이유와 이로부터 신체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궁금해졌습니다.


  1장에서 당독소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다루고 있는데요. 단순히 해로운 음식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살짝 충격 받았습니다. 조리법이 핵심이라고 하는데요. 요즘 식품은 굽고 볶고 튀기는 과정이 지나쳐 당독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입니다. 커피 원두가 당독소 측면에서 권할 만한 것이 아니라고 하여 큰 충격을 받았네요. 원두 갈아서 푸어 오버로 내려 마시는 것이 하루의 큰 즐거움 중 하나였는데 말이지요. 인공눈물 사용이 당독소로 인한 열증과 건조증에 이미 진입했다는 방증이라는 언급에서도 또 충격을 받았네요. 인공눈물은 제 삶의 필수템 중 하나거든요.


 어떻게 하면 당독소로 우리의 몸을 파괴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당독소는 음식을 굽고 튀기고 볶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라는 문장을 강조하며 책 전체를 읽기 힘들다면 이 말만큼은 기억하라는 글쓴이의 말이 기억납니다. 삶고 찌고 데치는 방식으로 요리한 음식 섭취를 늘려보아야겠습니다. 유산균은 음식으로 들어온 당독소를 분해하는 데 좋다고 하는데요. 평소 아침에 섭취하던 유산균도 앞으로 꾸준히 먹어야겠습니다.   


 왜인지 옥주현의 명언이 떠올랐습니다. 맛있어 보이는 음식을 보며 이건 아는 맛이라며 먹지 않겠다는 독한 말이요. 당독소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당분간은 옥주현의 삶을 살아보자 다짐합니다. 느슨했던 식습관과 생활습관에 긴장감을 주는 『당독소 쇼크』 일독을 권합니다.


 


이 글은 클라우드나인에서 제공한 책을 읽고 썼습니다.


#당독소쇼크 #박명규 #김아름 #클라우드나인 #당독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