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올해의 문제소설 - 현대문학 교수 350명이 뽑은
한국현대소설학회 엮음 / 푸른사상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현대소설 연구자들이 모인 한국현대소설학회에서 선정한 2023년 문예지 수록 소설 열두 편을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책이다. 2023년 1년간 문예지에 발표되었던 작품 323편 중 추천을 거쳐 20편을 추린 후 최종 결정한 12편을 일명 문제소설로 엮여 있다. 눈에 익어 반가운 작가의 이름이 보이는 한편, 편집자이자 소설가로 최근 이름을 접해 읽어보고 싶었던 작가의 작품이 있어 반가운 마음에 책을 선택했다.


 소설 한 편과 이 소설을 분석 설명하는 작품 해설이 세트로 총 열두 개 구성되어 있다. 문예지에 수록되었던 소설이었기에 평소에 접하는 보통의 단편 소설 길이이고, 작품 해설은 서너 장 정도로 쓰여 있다. 부담 없이 차례에 나열된 작가와 작품명을 훑어보면서 마음 가는대로 원하는 소설을 읽는 것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든다. 책에 나열된 순서에 학회 또는 편집자의 특별한 의도가 담겨 있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책에 실린 작품은 소설가 이름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한 것에 맞춰 배치되어 있다. 작품 해설 역시 소설이 끝난 다음 페이지에 바로 시작하지만, 나름대로 소설의 의미를 곱씹어 보며 정리를 해본 후, 평론가 및 연구자가 쓴 작품 해설을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제안해본다.


 “올해의 문제소설”이라는 제목에 맞게 한국 현대문학의 최신 경향을 책 한 권에서 빠르게 파악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보통 문예지라고 하면 해당 권의 주제에 맞는 작품이 수록되기 때문에 일종의 경향성을 파악하려면 문예지 여럿을 펼쳐봐야 할 것이고, 특정 작가 한 명의 단편집을 보면 역시 작가 여럿의 작품은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푸른사상사에서 2002년부터 출간되고 있는 『올해의 문제소설』의 매력과 장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정영수 소설가의 「미래의 조각」이 책에 수록된 작품 중 가장 기억에 남는다. ‘나’의 ‘엄마’에게 벌어진 충격적인 사건이 전혀 심각해 보이지 않게 독자들에게 전달된다. 화자의 말마따나 ‘낙관주의자’같지도 않고, 그렇다고 비관주의자 같지도 않은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 같다. 그래서일까? ‘엄마’가 공책에 쓴 자신의 일생과 일어나지 않은 일에 집중하게 된다. ‘엄마’가 지우고 싶은 과거가 가슴 아프게 느껴지고, 일어나지 않은 일이 너무 앞뒤가 맞지 않고 비현실적으로 쓰인 것 같아 더 안타깝게 느껴진다. 


 요새 발간되는 소설책에서 보기 힘든 책 크기도 인상적이다. 가로 부분이 요즘 책보다 넓은, 10년 전쯤 많이 볼 수 있던, 요즘 보기에 조금 커 보이기도 하는 크기다. 오랜만에 작지 않은 크기의 소설책을 들어 반가운 마음도 들고, 읽으면서 불편함도 특별히 느끼지 못했다.    




이 글은 푸른사상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