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살의 철학 - 열정의 서른에서 결실의 마흔으로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박혜령 옮김 / 토네이도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대부분의 직장이 40이 정년이 되어 버린 세상이다. 회사에서 나가라고 하기 전에 스스로 퇴직을 신청하는 편이 더 명예롭다. 그런데 퇴직 후에는? 제2의 인생이 펼쳐질까? 현실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현실은 자영업 또는 임시직일 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40살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읽어볼 만한 책이다. 이 책은 불확실한 시대일수록 철학은 중요한 버팀목이라고 말한다. 철학을 가진 사람에게 40대는 가장 빛나는 기회의 시기임을 보여 준다. 사실 명확한 목표와 자기 인생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 목표가 없어진 순간, 사람은 비로소 나이를 먹기 시작하고 쇠락해 가는 것 아니겠는가. 이 책은 그 점을 지적한다. 충분히 공감한다.
이루지 못한 것이 남아 있다는 것, 아직 삶에 채워 넣어야 할 것이 존재한다는 것은 축복이다. 사실 목표 설정만큼 인생에서 강력한 모티베이션도 없지 않은가. 목표가 있는 사람은 움직이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 책은 40대를 티핑 포인트로 삼아 더 크고 담대한 목표를 실현한 사람들의 조언을 담고 있다. 마흔은 한창 일할 나이가 아닌가. 사회인으로서 경험도 풍부하고 성과 면에서도 완숙미가 빛을 발한다. 따라서 저자는 알찬 수확을 위해서 가장 바쁘게 움직여야 할 시절이라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저자는 투자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라고 한다. 새로운 투자처를 향해 움직일 것, 그것이 저자의 실질적인 조언이다.
저자는 인맥에 대한 충고도 한다. 지난 인맥은 새로운 인생에 별 도움이 되지 않으니, 회사 밖 인맥에 대해 생각하라고 주문한다. 회사 사람들과만 어울리다간, 회사를 떠나는 순간 그들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즉, 직장이라는 안정만을 벗어났을 때 내게 투자해 줄 수 있는 사람들이 있는 곳을 기웃거리라는 것이다. 매일 똑같은 관성에 의해 흔들리며 살아가는 인생은 발전이 없다.
이 책은 후회 없는 40대를 보내는 지혜를 담고 있지만, 굳이 40대만이 아니라 멋지게 나이 드는 지혜까지 담고 있어 더욱 의미 있다. 흔들리는 삶을 살 수밖에 없는 이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