쉴드
무라카미 류 지음, 이영미 옮김, 하마노 유카 그림 / 문학수첩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동화처럼 서술된 작품으로, 개인의 내면을 지키는 '방패'가 무엇인지 성찰해 보는 소설이다.

 

이 책은 기지마와 고지마라는 두 주인공을 내세워 '내면의 방패'와 '외면의 방패'를 보여준다. 그리고 여러 가지 방패가 형성되고 무너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 과정을 통해 외면의 방패는 쉽게 무너지지만 내면의 방패야말로 진정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패가 됨을 보여준다.

 

기지마와 고지마는 친한 친구이지만, 서로 다른 성향을 지닌다. 즉 기지마는 어른들에게 반항적이지만, 고지마는 어른들의 말을 잘 듣는다. 그러나 고지마는 그것이 착한 흉내일 뿐이라고 말한다. 둘은 서로 질투심과 동경심을 가지고 있는데, 둘 중 누가 좋은 것인지 동네 수상한(?) 할아버지에게 물어보러 간다.

 

할아버지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다. "어느 쪽이 머리가 좋은지는 아무도 몰라. 누구가의 상황에 따라 머리가 좋으니 나쁘니 결정하는 것뿐이야. ... 국가나 사회에 이용하기 쉽고 이익이 될 성싶은 아이는 머리가 좋다고 칭찬하지. 그렇지만 국가나 사회에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은 아이는 쓰레기라 불리지. 그렇지만 그런 말에는 아무 의미도 없어."

 

두 주인공은 혼란에 빠지고 자신을 지켜줄 방패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다. 그동안 고지마를 지켜주던 방패는 '착한 흉내'였다. 그러나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그것이 더이상 통하지 않음을 느낀다. 새로운 방패가 필요하지만 그것이 어떤 것이 되어야 할지 몰라 무너진다. 자아방어에 대해 실패하는 것이다.

 

반면 기지마는 복싱을 통해 새로운 방패를 만드는 것에 성공하고 사회친화적으로 성격을 바꿔간다. 그리고 과거에 자신이 삐딱한 태도를 지녔던 것은 그저 두러웠기 때문이라는 깨달음도 얻게 된다. 기지마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함으로써 강력한 방패를 얻게 된다.

 

그러나 그것에 취한 나머지 내면의 방패를 소홀히 한다. 결국 그는 정리해고되어 외면의 방패가 사라지자 자아가 완전히 무너지게 된다. 이는 오늘날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인 내면의 적절한 분석이기도 하다. 노숙자가 생기는 이유에 대한 개인 내면의 적절한 분석인 것이다.

 

다시 고지마로 돌아가 보자. 고지마는 착한 흉내를 버렸으나 새로운 방패를 찾기 못해 자아가 무너졌다. 착한 흉내는 가치로 따지자면 외부의 방패이지 내면의 방패일 수 없다. 그는 어떻게 내면의 방패를 찾았을까? 그는 막장까지 몰리고 나서야, 공부 잘 하고 사회성 좋은 것 등이 진정한 방패와는 다르다는 깨달음을 얻고, 개 훈련소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리고 그는 이곳에서 천천히 내면의 방패를 가꾸어 나간다.

 

우리는 누구나 기지마나 고지마가 될 수 있다. 그것이 동화처럼 양식화시킨 캐릭터이지만, 오히려 간명한 두 개의 항이 될 수 있다. 무라카미 류의 <쉴드>는 불안한 시대에 진정한 방패가 될 수 있는 것에 대해 고민하게 하며 따뜻한 응원을 건네는 책이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