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아플까 - 몸과 마음의 관계로 읽는 질병의 심리학
대리언 리더 & 데이비드 코필드 지음, 배성민 옮김, 윤태욱 감수 / 동녘사이언스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정신이 육체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때때로 팔에 마비가 오는 것은 자신의 잘못을 벌하기 위한 정신의 작용이다. 누군가 범접하지 말하야 할 이에게 욕망을 느껴 더듬고 만진 일이 있다고 하자. 또 그는 자신의 행위에 치명적인 죄책감을 느끼고 그 일을 잊고 싶어한다고 하자. 그에게 가끔씩 팔에 마비가 온다. 당시의 비슷한 느낌이나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 있으면, 그 행위를 벌인 자신의 팔에게 벌을 가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신은 육체의 질병에 영향을 준다. 이 책은 정신분석학의 성과를 통해 육체의 질병을 분석하는 책이다. 프로이트 시절보다 더 과학적인 분석을 한다.

 

프로이트 이후, 눈부신 의학의 발달로 인해 신경과에서는 프로이트가 연구했던 증상들을 간단하게 약물을 처방하여 치료하곤 했다. 그러나 약물 치료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당장 증상을 눈앞에서 없애주기는 하지만, 원인을 치료해 주지는 않았다. 그러다 보니 금새 재발하곤 했으며, 환자는 다시 약물을 찾다가 약물 중독이 되기도 했다. 최근 의학계의 일부는 다시 프로이트를 배우고 있다. 물론 주류 의학계는 언제나처럼 별로 관심이 없다.

 

이 책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오늘날 의학을 결합시켜 정신-신체 의학을 주창한다. 그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주요 질병 가운데 오직 마음의 문제 때문에 걸리는 병은 하나도 없다. 마음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난 질병도 없다. 결국 몸과 마음은 잠재적으로 얽혀 있다."(16쪽)

 

즉 이 책은 정신과 육체라는 두 개의 영역에서 이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어떠한 질병이 발병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일상의 경험에 비춰보면 이해가 쉽다. 우리는 마음이 아프거나 감정적으로 고통을 겪으면 바이러스에 훨씬 쉽게 감염되는 것을 경험하곤 한다. 실직을 하거나 인간관계가 파탄날 때 소중한 사람을 잃었을 때 그런 경험을 한다.

 

세계 인구의 절반이 위장에 헬리코박터 균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모두 위염이나 궤양에 걸리지는 않는다. 오늘날 의학은 단지 병의 원인을 외부의 침입으로 선명하게 설명하려 하지만, 분명 그것만으로는 만족할만한 설명이 되지 않는다.

 

이 책은 오늘날 의학이 설명하는 박테리아 모형은 사실 중세 시대에 악마가 병을 가져온다는 생각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악마가 과학의 옷을 입고 다시 나타난 것이 세균이다. 그에 비해 정신-신체 의학은 정신과 신체를 구분되는 실체로 보지 않는다.

 

이 책에서는 정신과 신체가 함께 작용하는 질병에 관해 흥미로운 사례들을 많이 접할 수 있다. 많은 환자들이 병원을 찾을 때마다 같은 달에 예약한다고 한다. 심지어 몇 년간 병원을 찾지 않았더라도 환자들이 다시 의사를 찾을 일이 있으면 예전에 방문했던 날짜에 병원을 찾는다.

 

그것을 세심하게 조사해보면, 그날이 배우자와 사별한 날이거나 충격적 사건이 있었던 날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의식되는 기억 대신에 신체 증상이 그 사건을 기념하는 것이다. 이른바 '추모일 반응'이다.

 

남성들은 아버지의 기일에 자주 병에 걸리고, 여성들은 특정한 나이가 되었을 때 아픈 경우가 많다고도 한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어머니가 60세였다면, 딸도 그 나이가 되었을 때 병에 걸린다.

 

이런 경우도 있다. 어떤 사람이 초기의 상실 체험을 대체하거나 보상받기 위해 다른 사람과 사귄다. 그런데 관계가 깨지거나 힘들어지면 그는 초기 상실 체험으로 다시 굴러 떨어진다.

 

그동안 프로이트 이후 정신신체 의학과 관련해 꽤 많은 연구 작업들이 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게 되었다. 대단히 흥미로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