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소년을 위한 꿈의 해석 ㅣ 청소년을 위한 동서양 고전 9
박정수 지음, 지크문트 프로이트 원저자 / 두리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꿈의 해석>의 전모를 저자 개인의 소화된 언어로 충실하게 정리한다. 단지 요약 정리하는 책들과는 전혀 다르게, 저자 자신이 소화한 것을 명료한 언사를 사용해 밝힌다. 덕분에 독자는 거침없이 <꿈의 해석>의 세계로 풍덩 빠져 오묘한 세계를 한없이 누릴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프로이트의 꿈 해석이 서양 지성사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고대 해몽술과 프로이트의 꿈 분석의 근본적인 차이점, 꿈을 꾸게 만드는 동력, 꿈 왜곡, 꿈 출처, 꿈 작업을 거쳐 꿈을 해석하는 방법론에 이르기까지 <꿈의 해석>의 전모를 정말 알차게 설명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정신의학과는 다른 것이다. 정신의학은 의학의 관점에서 약물을 처방하여 정신 질병을 치료하려고 한다. 정신의학의 핵심은 약물 처방이다. 화학 약물로 정신의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그것은 증상에 대한 처방일 뿐, 원인을 해소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은 의학적 관점을 넘어선다. 그것은 의학의 관점으로 다룰 수 없는 복합적인 원인을 밝혀내어 무의식에 잠재된 것을 의식의 세계로 끌어내 성찰의 힘으로 치료하고자 한다. 일명 카타르시스 요법이다.
프로이트는 꿈을 꾸는 이유가 소원을 성취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즉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욕망을 꿈속에서 이루어 만족을 느끼고, 현실의 불만이나 아쉬움을 해소하는 것이다. 그리고 꿈을 꾸게 되는 동력에 성적 욕망이 있다고 분석한다.
이 책은 프로이트가 말한 성적 욕망(리비도)이라는 것이 단지 생물학적 욕구만을 말한 것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타인과 관계 맺고 싶어 하는 욕망, 타인에게 사랑받고 타인과 결합하고 싶은 사회적 욕망으로 받아들인다.
이 책이 재미난 것은 단지 꿈 분석에 머무르지 않고 꿈 분석의 원리를 사회적 현상에도 적용해 보여 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자가 확실하게 소화하고 독자에게 친절하게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팁과 더 읽어보기 글도 매우 알차다는 것이다. 팁 중에서도 다중인격자를 비정상으로 여기지 않고 원만한 관계를 맺어야 할 동반자로 보는 베델의 집에 대한 소개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또 라캉, 장자, 데카르트의 사유를 비교하는 글 ‘데카르트의 코기토 명제와 꿈’은 무척 흥미롭다. 이 글은 타자의 영역에 대한 의심이야말로 정상성을 증명해 준다는 분석을 보여 준다.
살짝 아쉬운 것은 라캉식 사유가 가끔 보이는데, 그것이 프로이트의 사유가 아니라 라캉의 사유라고 밝히지 않은 것이다. 프로이트를 새롭게 해석한 라캉은 프로이트와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둘이 혼재되어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조금 들었다. 뭐, 그냥 약간의 아쉬움을 뿐이다.
판타지한 '무의식의 중창'을 박진감 넘치게 들을 수 있는 책. 그간 나온 <꿈의 해석> 해설서 가운데 가장 충실하고 읽을만한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박정수라는 이름을 기억하기로 했다. 글을 풀어나가는 능력이 참 좋았다. 이 저자의 또 다른 책을 찾아 읽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