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테로 Taschen 베이직 아트 (마로니에북스)
마리아나 한슈타인 지음, 한성경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2009년 덕수궁 미술관에서 보테로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왔다. 뚱뚱한 모나리자를 통해 알게 된 보테로는 역시나 모든 작품이 풍만했다. 덕수궁에서 열린 전시는 기대 이상으로 좋았는데, 그 이유가 작가 소장전이기 때문이었다. 보테로가 팔지 않고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던 작품들을 모아 전시를 열었기 때문에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좋은 전시였다.

전시관에서 다양한 보테로 그림을 보며 기뻤지만, 한편으론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아직 그림 보는 식견이 낮아 그림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물론 미술이란 보는 것만으로도 만족을 줄 수 있는 영역이다. 제반 지식 없이도 좋은 그림이나 조각을 보며 감탄하는 건 그 때문이다. 하지만 보테로 그림은, 보는 즐거움을 넘어서는, 지속적인 의문이 계속해서 솟구쳐 올랐다. ‘보테로는 왜 뚱뚱한 사람들을 그리는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심지어 정물화에 등장하는 사물까지 뚱뚱하게 그렸다. 처음엔 그 발칙함에 재미있어 했다. 작가 특유의 풍자와 유머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림을 보면 볼수록 의문이 더해갔다. 모든 사람들은 뚱뚱했고 대체로 무표정했다.

보테로의 그림은 색채마저 풍만하다. 화려하고 선명한 색은 보테로 회화의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인물의 살색은 언제나 그의 그림에서 강조되는 색이다. 뚱뚱한 인물의 특징을 두드러지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고흐나 모네처럼 시간과 조명에 따라 달라지는 색이 아니라 시간이 멈춘 듯 고정된 색이다. 심지어 그의 그림에선 그림자조차 최소한으로 축소시켜버렸다. 광고 포스터처럼 한 번에 눈에 들어오도록 만들었다.

뚱뚱한 사람들의 몸집과 화려하고 선명한 색에 비해 인물의 표정과 몸동작은 굳어 있다. 특히 표정은 거의 모든 그림에서 한결 같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 수 없고, 그저 멍하다. 기쁜 건지 슬픈 건지 화가 난건지 웃는 건지 도무지 알 수 없다. 처음엔 그 표정조차 우스웠지만 그림을 계속 보면서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에게 표정이 없다면 감정이 없다는 게 아닌가. 사람에게 감정도 생각도 없다면 동물보다 나을게 뭐가 있겠는가?

“왜 뚱뚱한 사람들을 그리십니까?”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보테로는 같은 대답을 반복한다고 한다. “아니오, 나는 뚱뚱한 사람들을 그리지 않습니다.” 대체 무슨 소리인가. 사실 보테로가 그림 속 소재를 뚱뚱하게 그리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이 책에서 밝히는 이유는 보테로가 늘 회화의 감각적 질감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즉 보테로가 추구하는 미학적 이상은 형태와 부피감에 집중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낭만주의 대가 루벤스가 종교적 황홀경을 그림에 도입하기 위해 살의 관능과 감각을 이용했다. 루벤스의 그림을 보면 보테로 만큼이나 사람들이 뚱뚱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형식적인 풍부함 뿐 아니라 함축적인 의미를 살펴 볼 수도 있다. 보테로는 다루는 주제가 무엇이든 그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감정을 제거해 버린다. 투우는 잔인함과 비극적 죽음을 없앴고, 여인의 하얀 나신에선 에로틱을 빼앗았다.

보테로는 터질 듯 과장된 육체를 통해, 과장과 화려함, 과잉으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를 그리고 있다. 화려하고 단순하고 풍요로움을 풍요를 쫓는 현대인의 단순화되고 순응적인 무기력함을 나타내고 있다. 결점 없는 색체 표현도 위와 같은 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보테로 그림 속 인물들의 표정이 없던 이유도 또한 그 때문이다. 그의 뚱보 그림들은 화려하고 풍요로운 물질 속에서 정신의 가난함 속에서 허덕이는 우리를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뚱뚱한 모나리자를 비웃고 있지만, 실은 우리 자신을 향해 비웃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마로니에 북스에선 나온 <페르난도 보테로>는 그간 궁금했던 보테로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데 꽤 많은 도움이 되었다. 건조한 번역이 다소 아쉽다. 익히 알아온 <타셴>의 도판은 <보테로>에 있어서도 충분히 만족할 만 했다. 전성기 때 그림 뿐 아니라 초기 그림이나 조각까지 다양한 도판을 다량 소개하고 있어 보테로 팬이라면 필독서라고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