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사에서 <세계문학의 숲> 시리즈를 선보이고 있다. 그중 6번째 작품이 <나사의 회전>이다. 미국작가인 헨리 제임스에 의해 1898년에 쓰여진 책으로, 헨리 제임스는 ‘심리적 리얼리즘 문학’에 있어 주요한 인물로 평가 받고 있다.

소설 속 ‘나’는 젊고 잘 생긴 독신남 고용주에 의해 시골저택으로 내려간다. 그곳에서 가정교사가 되어 고용주의 두 조카들 돌보기 위해다. ‘나’는 스무살로 집에서 나와 일찍 독립하고 싶어 가정교사를 선택했다. 시골저택에서 만난 두 아이들은 너무 착하고 예쁘고 천사처럼 아름답다. 그곳을 관리하는 그로스 부인과도 금새 친해져서 별 문제없이 평화로운 나날을 보낸다.

하지만 시골저택에서 ‘나’는 유령을 목격하게 되면서 평화와 안정은 깨지고 만다. 곧 ‘나’는 유령들이 아이들을 지배하길 원하는 사악한 유령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나’는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 유령들과 맞서기로 결심한다.

<나사의 회전>은 중심 줄거리만 보면 당시 유행하던 유령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 유령 이야기를 빙자한 심리소설이라는 걸 읽으면 금방 알게 된다. 1인칭 시점으로 철저히 가정교사 ‘나’에 의해 서술된다. 그래서 이야기는 극히 주관적이다. 또한 유령을 봤다는 사람도 가정교사 한사람뿐이다. 아이들이 유령과 대화하고 있다고 가정교사는 주장하지만, 소설 어디에도 그런 장면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래서 독자들은 혼란에 빠진다. 유령이 실제 존재하는가? 모든게 가정교사의 착각이자 환각인가?

소설은 말미에서조차 시원하게 결론 내리지 않는다. 제목 <나사의 회전> 뜻처럼 말이다. 나사를 돌리면 회전하지만 어느 쪽을 돌리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나사가 빠지거나 나사가 꽉 들어가느냐 말이다. 소설은 어느쪽을 주장하는 모두 맞을 수 있고 틀릴 수 있다. 혹은 둘 다 옳을 수 있다.

이는 소설 읽는 재미를 더했는데, 이것이 이 소설만의 특별한 매력을 만들고 있다. 계속 의문을 갖게 만들고, 빠져들게 만드는 힘이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