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이것은 누구나의 삶 - 특별하지 않은 청춘들의, 하지만 특별한 이야기
박근영 지음, 하덕현 사진 / 나무수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받고 펼쳐보니, 인상적인 사진들이 눈에 띈다.
책을 읽어보니, 인터뷰한 사진작가가 찍어 주었다고 한다.
세속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기꺼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사는 이의 삶이 보여 좋았다.

이 책은 별다른 부담없이 읽어내려갈 수 있다.
그러다보면 우리네 삶을 만나게 된다.
성공을 쫓아가는 삶이 아니라, 자신만의 삶을 찾아가는 아름다운 모습들이
잔잔하게, 요란하지 않게, 푸근하게 담겨 있다.

이 책은 소위 말하는 '잘난 위인'은 다루지 않는다.
그러나 삶의 진정성과 진지함은 그들보다 더 아름답다.
그래서 특별하지 않은 이들의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삶을 대하는 저자의 긍정적인 시선이 바다의 품처럼 느껴지기도 해 따뜻하다.

또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는 재미, 남들도 나와 같구나 하는 생각에서 오는
위안과 자기치유의 효과도 있어 보인다.
이 책은 자극없이 묘하게 끌어당기는 매력이 있는 책이다.
특별한 자극이 없는데도, 읽다보면 계속 빨려들어간다. 

또 삶을 위로하는 자잘한 공간들에 대한 소개도 재미나다.
자신만의 공간을 '발견'하는 재미를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잠깐 언급되는 <무한도전> 김태호 PD에 대한 얘기도 흥미로웠다.

인상적인 구절들을 옮기며 입안에서 맴도는 남은 향을 다시 맛보고 싶다.

"쿨한 것이 젊음의 특권처럼, 혹은 '쿨'한 삶이 멋진 것인 양 포장된 사회에서 어쩌면 그는 거꾸로 가는 길을 택한 사람이다. 적당히 '쿨'하게 살지 않겠다는 자세, 세련된 감정으로 자신의 삶을 자위하지 않겠다는 고집스러움이 김주헌에게는 있다." 84~85쪽

"가끔 밤에 누워 있다가 꼭 이길어어야 했을까, 이 선택만이 옳았을까 하는 의문을 가질 때가 있어요. 어릴 때는 한눈 팔지 않고 바쁘게, 열심히 사는 것만이 최선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제 내가 옳다고 믿었던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돌아보게 되는 거죠. 우리 삶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이 있는데 전 한 계절만 산 게 아닐까... 이제 겨우 그 한 계절을 넘긴 것 같다고 할까요." 193쪽

"폭력이나 권력에 맞서는 방법 중 하나로 더 사람답게 더 재미있게 사는 것도 방법이다. 그러기 위해선 끊임없이 희망을 발굴하며 살아야 한다." 228쪽

"그와 인터뷰를 나누는 동안 나는 사이키 조명이 반짝이는, 그러나 평화롭고 깜찍한 행성에 다녀온 느낌이다. 그 행성은 전쟁도 없고 동물을 못살게 구는 사람도 없다. 시원한 오렌지 주스와 노란 장미, 예쁜 하와이안 커플이 햇살을 쬐며 쉬고 있는 곳, 그곳은 환상의 세계이다." 2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