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 역사특급 - 비단길에서 만나는 재미있는 동서양의 역사 이야기
강응천 지음 / 탐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크로드 역사특급 


비단길에서 만나는 재미있는 동서양의 역사 이야기

우리가 잊고 있던 실크로드에 대한 자세히 알지 못했던 거대한 역사와 문화의 참모습을 확인하고자 하는 책이다. 
중국인은 21세기의 서부 개발을 일대일로 구상과 실크로드를 부활시키겠다는 계획이 있다. 
일대일로란 무엇인가?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이 책에서 들려줄 거대한 실크로드에 대한 역사가 기대가 된다.

동서양 역사를 하나로 꿰는 ‘마법의 길’, 18가지 이야기로 되살아나다.

사막의 미로에서 동서 교류의 대동맥으로

책 속에는 18가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실크로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에게도 좋은 기본 지식들과 실크로드와 얽혀 있는 우리나라의 역사 이야기, 흥미로운 애피소드와 인물위주의 이야기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호기심이 생기게 하는 제목들이 어떤 이야기들이 펼쳐질지 너무 기대가 되었다. 

책속으로 처음 들어가면 실크로드 주요 경로가 펼쳐지는 지도가 보인다. 
그리스 신화속 이야기들과 유라시아 중심부에서 이주민들의 이동과 푸른눈의 정복자들이 누구인지를 알 수 있었다. 

한나라 제7대 황제 무제 때 흉노를 물릴칠 방법으로 윌지와 동맹을 맺고 흉노를 협공하고자 했다. 대월지까지 가는길이 위험해 용감한 장건에게 일을 맡겼고 그때 장건이 그리스인에게 중국비단이 팔리는 것을 보고 서역 세계와 교류하는 통로를 확보해 안전하게 중국의 비단을 팔아 이익을 챙기려 하였다. 무제는 타림분지의 오아시스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고, 오늘날 우리가 실크로드라고 부르는 동서 교역로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렇게 실크로드의 첫 탄생이 시작되었다니! 너무 흥미롭게 보았다. 

통일신라와 실크로드에 대한 이야기에서 우리가 들어본 이름 처용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서라벌 밝은 달 밤들이 노니다가" 

처용가로 유명한 처용은 아라비아에서 온 이주민일까? 
이란 사람들이 신라에서 살았다는 것을 알수 있는 것을 책속의 사진으로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절에 그려진 단청의 당초문이 아라비아 전통 무늬인 아라베스크 모양을 하고 있는 사진을 보니 다시 한번 절을 방문하면 살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막고굴에서 소중한 문화재들이 제 나라에 있지 않고 강대국에 가 있는 사례를 보니 참 안타까웠다.
막고굴은 753개에 이르는 이 석굴들을 아울러 가르키는 이름이 바로 모가오 굴, 우리 한자 발음으로 막고굴이다.
여기 있던 많은 문화재를 악탈해 간 사람들을 실크로드의 악마들 이라고 말했던 영국의 역사학자의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일본 탐험가 이야기는 얼마나 얄밉게 보이는지.. 나쁜
그래도 약탈해 갔던 실크로드 보물 1500여 점이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에 모셔 있다니 참 다행이였다. 
왜 다른나라의 문화재를 그 나라에 전해주지 않게 되었던 것일까.. 우리나라는 문화재를 많이 약탈당한 나라에 속한다고 한다. 그 갯수만 보아도.. 약한..

어느 나라든지 문화재는 그 나라 역사의 산물이고 그 나라 사람들의 소중한 자산이다. 그런 문화재들이 강대국의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가 있는 현실은 20세기 중반까지 인류가 겪었던 고약한 역사를 되새기게 만든다.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와 민족을 강제로 지배하고 그 나라의 보물을 약탈해 간 역사 말이다. 
작가님의 말이 와닿고 말처럼 흩어져 있는 문화재들이 제 나라를 찾아갔으면 얼마나 좋을까.

마지막 이야기는 실크로드에서 통일을 생각하다. 일대일로와 남북통일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남북교류로 실크로드를 활용한다면 아시아 태평양의 새로운 교역로 사이 한반도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것. 남북교류는 좋겠지만 통일은 아직 좋은쪽으로만 생각하기엔 너무 어렵다. 
남북 교류로 실크로드를 활용하게 된다면 우리나라뿐 아니라 북쪽에도 많은 발전을 줄 것 같다. 

실크로드 역사가 재미있는 역사속 주인공들의 이야기들이 그때 그곳으로 빠져들고 하고, 참고 사진과 그림으로 많은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