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죽음에 대한 커다란 책 톡 꼬마 철학자 3
실비 보시에 지음, 배형은 옮김, 상드라 푸아로 셰리프 그림, 성태용 감수 / 톡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삶과 죽음에 대한 커다란 책 (실비 보시에 글, 상드라 푸아로 셰리프 그림, 배형은 옮김, 톡 펴냄)'
이라는 책 제목을 보는 순간 다소 무게감이 느껴졌어요.
아이에게 늘 지식을 담은 사실적이고, 정답이 있는 질문만 해봤지
생명이란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등의 좀 더 철학적인 질문은 해 본적이 없는 것 같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도 아이의 반응이 더 궁금했던 책이었습니다.
 
 
 
 
자기 주도적 생각의 시작, 꼬마 철학자
철학을 알면 세상이 행복해져요!
 
<삶과 죽음에 대한 커다란 책>은 그동안 쉽게 알 수 없었던 질문들에 대해
하나하나 해답의 실마리를 보여 주며 우리가 더욱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비법을 스스로 찾도록 도와준답니다.
 

 
 
이 책에는 생명이란 무엇인지? 죽은 것과 살은 것의 정의, 식물은 정말 살아 있는 것인지,
동물들은 어떻게 살아가며 사람의 삶은 어떠한지 등
삶과 죽음에 대해 포괄적으로 생각하여 자신의 삶을 좀 더 가치있게 여겨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살아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어느 날 아이가 저에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저는 어떤 설명을 해주어야 했을까요?
그 생각을 하니 순간 머리 속이 하얘지더군요.
책에서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옆에서 조근조근 설명해주듯 쉬운 설명으로 안내해주고 있어요.
 

 
 
또, 그와 관련된 여러 나라의 전설이나 신화로 좀 더 이야기에 흥미를 주지요.
 

 
 
죽음이라고 하면 다소 딱딱하고 무겁게 느껴지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죽다'라는 재미난 표현을 이용해 공감대 형성을 하기도 합니다.
 

 
 
생명이 있는 것이라면 언젠가는 죽음에 이르는 것.. 그 또한 삶의 일부분이겠지요.
누구나 그 죽음이 언제 다가올지 모르겠지만,
이 책을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면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좀 더 담담히 받아들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또, 그러한 일이 생길때는 아이에게 사랑받고 있다는 느낌,
애정에 감싸여 있다는 느낌을 주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눈에 띄었습니다.
그렇게 사랑하는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그 사람 없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하는데
추억을 떠올리며 슬픈 마음을 달랠 수 있는 좋은 글도 있어 분명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어른 못지 않게 요즘 학업, 성적, 친구, 왕따 등의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요즘 아이들..
그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면 우울증으로 연결되기 쉬운데요.
그 우울증에 대한 개념을 적절한 예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고
혹시 그런 우울증 느낌이 든다면 '걱정 박사님'을 만나면 조금씩 기분이 나아질 수 있다고 조언해주고 있어요.
 
 
흔히 삶과 죽음은 하나라고 하지요.
꼭 교육 차원에서 아이와 삶과 죽음에 대해 이해를 시키고 알려줄 게 아니라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로 우리에게 주어진 삶을 앞으로 어떻게 가치있게 살 것인지
철학적인 의미가 담겨 있어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행복의 가치관과 긍정적인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것 같아요.
또, 워낙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나온 글이라 의외로 아이가 무겁게 받아들이는 것 같진 않았어요.
어쩌면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삶의 일부인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고
그래서 자신의 삶과 가족, 행복에 대해 되돌아본다면,
좀 더 가치있고 행복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자살이나 전쟁으로 소중한 생명을 함부로 다루는 일도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