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싱클레어라는 아이가 주인공이 되어 빛과 어둠의 세계를 오가며 한 세계씩 알아가는 성장소설이다.

  이책은 유명한 책이기도 하고 널리 알려져 있어서 한 번쯤은 읽고 싶었던 책중에 하나이다. 이제야 읽게 되었지만 아직 나에게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책 이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작가가 말하고싶은 바가 무엇일까? 라는 의문을 품고 책을 보다보니 하나씩 중요한 카테고리나 사건들이 의미하는 바를 조금씩은 알게 되었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며 생각했던 궁금증 중 크게 관심을 가졌던 내용을 아래에 담으려고 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싱클레어가 데미안으로 부터 카인의 표적 이야기를 듣고 왜 그렇게 놀랐을까? 이다. 그에 대한 해답은 믿음과 종교의 흠에 연관지을 수 있다. 믿음이란 매우 강력한 것이다. 사람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고 동기가 되어 무기가 되기도 한다. 싱클레어의 경우 평생 성경과 자신의 종교에 관해 믿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데미안의 한 마디가 자신의 믿음을 송뚜리채 흔들어 놓았으니 자신의 삶이나 지금까지 해왔던 사고방식에 후회나 회의를 느끼지는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믿음, 종교에는 흠이 있기 마련이다. 성경과 불경등 모든 종교 서적은 사람이 해석을 했기에 흠이 생길 수 있다. 대부분 신은 항상 옳고 판단이 서지 않거나 나쁘다고 판단되는 것은 모두 악마에게로 넘아간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 보면 우리가 생각하기에 악마가 한 짓이고 나쁘다고 생각만 하고 있던 것이 사실 나쁜게 아닐 수 있고 신이 만들어 낸 것 일 수도 있는것이다. 이런 생각을 가진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혼돈과 아직은 이해를 완벽히 할 수 없는 말을 남긴다. 그게 바로 카인의 이야기이다. 이처럼 우리도 이런 틀에갇힌 사고방식에서만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사실 우리가 항상 믿고 있었던 것에 흠이 있는 것은 아닐까?우리는 어쩌면 잘못된 사고방식 속에서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는 '데미안'에서 중간에 나온 말을 인용하고 싶다.'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우리도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을 깨뜨려야지 진정으로 태어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승주나무 2022-02-04 0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완벽하다는 착각이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만드는 것 같아요. 과학에도 흠이 있는데 종교는 더 말할 것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