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중국일기 2 - 고구려 패러다임 도올의 중국일기 2
도올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의 중국일기 2번째 편이다.

이번에는 부제 "고구려패러다임"이라고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중국땅에서 고구려의 옛 흔적들이 있는 곳을 방문하고 그것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도올선생의 견해에서 알려준다.

책속의 영어부제는 "The Vindication of the Goguryeo Paradigm" 이라고 되어 있다.


환인지역, 집안지역...사실 잘 모르겠다. 마지막에 나온 팔미라에 대한 이야기는 뉴스를 통해서 알고 있는 정도라고 해야하나...

하지만 이 책을 통하여 많으면 많은 유적들이 중국에 남아 있다는 것을 첨 알았다. 사실 한국사에 대한 교육에서 고구려라는 것은 거의 비중이 없기 때문에 나의 머리속에는 고구려 역사도 광개토대왕과 장수왕정도에 머물러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중국과의 관계에서의 고구려, 그리고 장수왕이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하는 것이 역사적인 관점에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견해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해준다.


신채호선생은 기미독립선언문을 읽고 내용의 빈약함에 바로 찢어버렸다고 하고, 조선혁명선언이라고 하는 항쟁을 위한 매니페스토를 직접 작성했다는 부분에서 많은 생각을 한다.

도올선생이 TV에 나와서 3.1운동이라는 말은 잘못되었다고, 3.1독립항쟁(맞나?)이라고 해야한다고 하는데 전적으로 공감이다. 단순한 운동이라고 표현하기에는 넘 의미있고 또 많은 희생이 따른 다른형태의 항쟁으로 되어야 할 것 같다.


모르는 것이 많지만 좀더 폭넓은 역사를 보는 방향을 제시해준 내용이었다.

다음편도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