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왜곡의 역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예수 왜곡의 역사 - 성서비평학자 바트 어만이 추적한
바트 D. 에르만 지음, 강주헌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보면 이단적인 주장으로 가득 차 있을법한 책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온건한 주장만을 담고 있는 책이다. 성경에 대해서 학문적으로 관심을 가져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법한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강하게 주장하기보다는 모순점들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든 종교는 각각의 교리를 가지고 있고, 그 교리는 대부분 그 종교의 경전에서 나온다. 그렇기에 종교는 경전에 기반한다고도 말 할수 있으며, 경전의 이해는 신자로서는 당연한 행위 일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의 극단적 종교들은 그들의 경전에 기반하기보다는 스스로 속박당해서 글자 그대로 해석하려 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특히 많은 종파를 보유(?)하고 잇는 개신교쪽에서 그러한 예제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이라면 한번 쯤 읽어 보아야 할 책이다. 

 '성경'은 그 직계 제자들이 서술한 내용조차도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필요 이상의 신뢰를 얻은, 다소 과장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책에서는 이러한 부분들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면서, 성경은 신의 말씀을 직접 받아적은 책이 아닐 뿐 더러, 심지어는 예수로부터 시간이 흐른 뒤에 구전된 것을 정리한 수준정도의 빈약한 내용임을 보여 준다.  

 6장에 이르러서는 이단과 외경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는데, 아마도 이 책에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 아닐까 싶다. 매우 간략하게만 나와 있기 때문에 그 이단들의 역사와 외경들의 내용을 다 알기에는 부족하지만, 이것만으로도 현재의 기독교 교리는 만들고 형성한 것은 후기의 교부들이며, 예수와 그 제자들은 그것의 뿌리중에서도 가장 깊은 부분일 뿐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어쩌면 저자가 불가지론으로 돌아선 사람이라는 것 때문에, '배교자의 변명'정도로 읽힐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를 귀담아 듣지 않는 한, 성경의 내용과 시대에 뒤덜어진 해석은 점점 개신교를 옭아 맬 것이다. 현재에도 많은 반 기독교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기독교를 반박할 때 즐겨 사용하는 것은 성경이다.  저자가 책의 중간중간에 말하고 있지만, 글 속에 들어있는 미묘한 차에로 인한 맥락을 읽어야 한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고, 반박들에 귀를 닫으며 폐쇄적이 되는 순간, 한자리에 고여 썩는 물이 될 것은 자명하기 때문이다. 

 

덧. 학자답다고 해야할지.. 예제가 너무 자세하다. 스스로도 어느것 하나 빼기가 힘들다고 토로하지만, 일반인을 상대로 낸 책이니 좀 더 절제했었다면 좋았을 것. 

덧2. 본문 여기저기 나타난 성경들을 보기 위헤 옆에 펴놓고 읽으면 재미있을듯. 직접 인용하지보다는 요약만을 하였다. 성경공부 하는 느낌으로 책이 성경을 어떻게 해석했나 비교해볼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