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행복한책읽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난 나름대로 콜랙션으로서 '책을 주제로 한 책'을 모으고는 있다. 책의 역사, 책이 주인공인 소설, 출판사 이야기, 무겁지 않은 비평서적정도인데, 가능하면 '책읽는 방법'에 관한 책은 모으지 않으려 한다. 크게 두 가지 이유인데, 첫번째로는 '자기계발서'의 냄새가 난다는 것이다. 자기계발서와 같이 일부의 경험을 키워서 일반화시키고, 항목화 시켜서 이것이 답이다라고 제시하는 책은 도무지 친해지고 싶은 생각이 안든다. 두번째로는, 나에게 독서는 '유희'이기 때문이다. 취미이자 유희인 독서를 다른사람에게 강요받고 싶은 생각은 조금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류의 책을 접하게 되더라도 조금은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것은 어쩔수 없는 일이리라.

 이 책에서 높이 평가하고 싶은 것은, 여러권의 책을 이야기하면서 그 책들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서술하기보다는 보여주고, 강요하기보다는 서술하는 방식은 나같은 사람도 큰 거부감 없이 읽어나갈 수 있었다.
 어떤 책은 어떻게 읽으라는 식의 '독서론'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 책을 고를것인지를 중심으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기 떄문에, 책의 내용에는 관심이 없다고 하더라도 추천하는 책들은 한번씩 읽어보는것은 좋을듯 하다. 사실, 책의 선정방법과 독서방법이라는 이 책의 겉으로 드러난 주제만을 간단하게 얻기 위해서라면 그저 차례를 훑어보는것으로도 족하다. 차례 만으로도 그 장에서 선택한 책과 선택한 방법, 읽는 방법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본문은 앞장과 뒷장을 잇는 형태로 책을 고르고, 읽고, 다음책으로 넘어가는 반복이 중심을 이루며, 그것이 이 책의 중심 내용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여느 B급 독서법 관련 책들과 다를게 없어진다.
 이 책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각 장에 있는 '독서공감'이라는 제목으로 해당 장에서 추천했던 책에관한 간단한 노트이다. 해당 장의 해설이기도 하고, 독서 노트이기도 한 이 내용들은 본문의 흐름에서 약간 벗어나는 내용들 이지만, 별도의 지면을 할애할만한 이야기들이 적혀있다.

 끝으로, 이 책을 아무리 재미있게 읽더라도 이 책의 전부를 따라하지는 말기를 바란다. 이 책의 규칙들을 모두 받아들인다는것은 자신이 이 책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것인지 돌아보아야 할 문제이며, 오히려 이 책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저자또한 책에서 "막가자는 얘기는 무책임하지만, 틀에박힌 지침에 얽매여 행복한 독서에 방해가 된다면, 그런 독서법을 강요하는 책이라면, 과감히 던져버려도 좋다" 라고 한다.("던져 버려야만 한다"라고 정정하고 싶은 욕구가 넘치는 구절이다)

  몇 가지는 공감했고, 몇가지는 흥미로웠지만, 사실 몇가지는 거슬리는 부분들이 있었다. 어떤것을 논하는 책에서 거슬리는게 없다는 것이야 말로 자신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가를 반성해야 할 것이긴 하지만, 한가지만 짚고 싶다. "...을 읽은 후 이해하는데 아무런 무리가 없었다는 생각이 들다면, 십중팔구 잘못 읽었거나 대충 읽은 것이다." 과연 그러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