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제국 쇠망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로마 제국 쇠망사 - 한 권으로 읽는
에드워드 기번 지음, 나모리 시게나리 엮음, 한유희 옮김 / 북프렌즈(시아)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가나모리 시게나리의 간추린 로마사

 흔히 로마사를 이야기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것은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일 것이다. 이 책이 참조하고 있는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는 한글 완역본이 이제 막 나왔을 정도로 그다지 친숙하지 않은 책이다. 이 책의 표지에서 "편역, 감수"라는 칭호가 말해주듯, 이 책은 그다지 기번의 원서에 충실하지는 않다. 사실 가나모리 교수는 독일문학과 사상을 전공했기 때문에, 영국인인 기번이 쓴 책을 그대로 번역하고, 해석을 다는 것에는 영문학자의 그것보다 떨어질것이다. 하지만 가나모리는 책을 옮기거나 해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그것을 기반으로 2차저작을 한 것이다.
 30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기번이 다루었던 절정기 이후의 역사 뿐 아니라 부흥의 역사까지 전체를 다 다루고 있다. 따라서 기번의 문체나 서술은 아주 조금밖에 느낄 수 없다. 기번의 서술은 각 장의 시작부분이나 중간중간 기번의 서술에 관해서 언급 할 때 따라나오는 인용구들 뿐이며, 사실상 기번의 책이 아니라 "가나모리 시게나리"의 책으로 봐도 무방 할 것이다.
 

로마제국 쇠망사에대한 안내서

 이 책은  기번이 다루지 않은 로마제국 초기의 역사들을 충분히 다루고 있으며, 사건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지만 시간상의 전후 맥락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서술은 각 사건의 장면을 잘 서술해 주면서도 전체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하기 떄문에 기번의 <로마제국 쇠망사>의 안내서로 보는것이 좀 더 적합해 보인다.
 이 책은 보통의 소설책 한권의 분량을 30개의 장으로 나누어 이야기 하기 때문에 각 장이 상당히 짧고, 서술도 상당히 쉽게 되어있다. (이런 정도라면 웹상에 연재분을 모아서 책으로 냈다고 해도 믿을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쉬운 서술은 결국 한계를 가지고 오는데, 사건의 흐름만을 이야기 해 줄 뿐이기 때문이다. 그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빠져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특히 여러 전투에 관한 이야기에서 극명히 나타난다. 로마의 영웅들이 불리한 전세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그렇게 승승장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것은 물론이고, 바바리안들(고트, 켈트 등의..)이 어떻게 로마에 편입되고, 무엇이로마인보다 강인하게 만들었는지 등등, 여러 사건들에 대한 궁극인들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하나도 빠짐없이 외면하고 있다. 사건이 서술하는것은 전후의 맥락과 직접적인 원인, 결과들 뿐이기에 그것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이 책 밖에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야 할 것이다.

로마사 로서는 충실하지만..


 이 책은 로마사로서 충실하게 흐름을 따르고 있으며, 흔히 기억하는 로마의 영광된 역사 뿐 아니라 쇠망사에 더 무게추가 가 있다는데서 간략하게 읽기 매우 좋은 책이다. 반란과 참주들의 역사나, 녹파나 청파의 싸움은 특히 관심있게 로마사를 보지 않고서는 접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설명한 궁극인의 부재는 로마를 이해하는데 약간의 장애물로 남을 것이다. 종교문제는 기족교 공인의 시점 전후로만 잠깐 등장할 뿐이고, 이전의 다신교나 배화교, 기독교가 국교화 되던 시점의 이단싸움은 거의 나타나있지 않다. 또한 수 많은 전쟁을 판가름 했던 군사나 무기 체계에 관한 이야기도 빠져있다. 로마의 흥망의 중심에는 내분과 정복이 있다는 것을 생각 해 보면, 사실 안타깝다. 이러한 부분으로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사실이 있기 떄문이다.
 물론 이런 이야기들은 로마 뿐 아니라 주변 종족들의 이야기뿐 아니라 기후와 지형등 많은 것들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 한권 안에 담기에는 부족할 수 있겠지만, 로마 밖의 이야기를 최소화 하려는 가나모리의 시도는 기번에서 벗어나 로마의 역사를 서술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가정할 때,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다.


다시 기번으로 돌아가서...

 이 책에서 기번에 대해, 그리고 그의 책 로마제국 쇠망사를 가장 잘 알수 있는 부분은 가나모리의 서문과 한은미의 역자후기이다. 가나모리의 서문에서는 기번의 책이 얼마나 문학적 가치가 뛰어났는지, 그리고 왜 전체가 아닌 쇠망사를 썼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물론 이것은 기번의 책이지 이 책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 서문만을 읽고 이 책을 구매한다면 다소 실망할 것이다.
 역자 후기의 마지막에서는 기번이 왜 망했는지보다 어떻게 존속했는가를 보라고 했다고 이야기 한다. 가나모리가 본문에서 그 이유는 이야기 하고 있지만. 그 뿐 아니라 다른 이유는 없는가를 생각해 보는것도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