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차가운희망보다뜨거운욕망이고싶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나는 차가운 희망보다 뜨거운 욕망이고 싶다 - 청년 김원영의 과감한 사랑과 합당한 분노에 관하여
김원영 지음 / 푸른숲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어떤 사실을 말하거나 설득하기보다는 보여준다. 그렇기 떄문에 이 책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설명하기보다는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이라고 느낀 것에 대한 내 나름의 느낌을 적었다.
장애인과 정상인,
이 두 단어는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정도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싶다. 공산주의라고 민주주의를 하지 말라는 법은 없고 왕정에서 자본주의 하지 말라는 법도 없는것처럼, 하지만 쉽게 (특히 감정적으로)혼동하는 단어이다. 저자는 후기에서 장애인의 반대되는 개념의 '정상인'을 사용하지 말아달라고 주문했지만, 사실은 둘은 다른 단어일 뿐이다. 이 책은 '정상인인 장애인'이 쓴 글이다. 정상인의 사회와 장애인의 사회 양쪽에 속하고, 양쪽 모두에서 활동하는 그가 본 장애인의 사회, 그리고 자신의 과거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장애의 이야기가 주가되기 때문에 많은 비장애인은 TV에서 장애인 후원 프로에서 보는것과 같은 장애로 인한 고생 이야기, 또는 장애를 극복한 감동적이고 눈물겨운 이야기를 기대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래서야 또다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라는 구도에 갇힐 뿐, 그것이 어떠한 변화를 낳지도 못할 것이다. 같은 의미로 이런 이야기를 '틀림'과 '다름'의 구도로 가져가는것도 그다지 옳은 일은 아니다. 그들은 우리화 하나가 아니라는 의식이 짙어지지 않을까 싶기 때문이다. 장애인도 우리와 같은 사회의 구성원이고 무엇보다 같은 '사람'이라는 '같음'을 보아야 하는 것이다. 왜 저자는 '뜨거운 욕망'을 이야기 했는가에 대한 내 나름의 결론이다.
장애인의 인권
저자는 장애인이 나와서 시위를 했을때, '사람들은 장애인들도 살기 좋아졌다. 나와서 데모도 하고' 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당연한 소리이긴 하다. 하지만, 생존하기 편해졌다고 해서 그것으로 충분하지는 않은것이 문제이다. 다만 생존을 위해서라면, 분명 전보다는 살지 좋아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사회에 참여하기에는 아직 모자란다.
민주주의의 발전은 사회의 참여인원을 늘리는 쪽으로 진행되어 왔고, 이것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그렇기 떄문에 끊임 없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공통으로 가지게 되는 권리인 인권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되는 것이다. '생존을 위한 권리'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권리'이기 때문에 그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투표하고, 취업할 권리가 있는 것이다.
나 스스로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 이지만, 이런 일을 외면하고 심지어 싫어하기까지 하는것은 기본적으로 다른사람의 문제이기 때문이 아닐까. 자신이 속한 사회에는 없다고 믿고 싶은 거북한 마음이 그들을 다른 사회로 몰아 넣고, 그들의 인권을 외면하게 만든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장애인에 대한 동정
대부분의 경우, 동정은 하지 않느니만 못하다. 동정은 기본적으로 대상에 비해 자신이 우월하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떄문에 장애인들에게 동정을 베푼다는 것은 그들을 멸시하는것보다 조금 나은 행동일 뿐이다. 저자도 장애인으로서 어렸을때 '쿨한척' 자신을 꾸며왔던 이유가 그것 이었고, '꽃동네가서 봉사한번 하면 살기 힘들다는 생각이 안든다'라는 말에 반감을 가지는 이유가 그런것 아닌가.
난 동정이 싫다. 동정 받는것도 싫지만, 그 못지않게 동정 하는것도 싫어한다. 하지만 그 동정이나마 필요한 사람에게 직접 도움을 줄 정도로 부지런하거나 유능하지 못하다. 그래서 난 그저 외면 할 뿐이었다. 나를 지목해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한, 그것은 다른 세계의 이야기였고 다른사람의 문제였다. 장애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생각은 전혀 없이 바라보기만 하면서, 내가 이 책, 장애인의 사회, 그리고 저자를 평가 할 자격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그렇다고 인권에 관련된 무엇인가를 실천할 자신은 없다. 다만 지금은 우리와 같지만 '다른존재'로 인식되는 그들에게 약간의 관심을 더 주어 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