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홀리 : 무단이탈자의 묘지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2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 리사는 인류의 슬픈 진실이란, 사람들이 듣는대로 믿는다는 것임을 빠르게 깨달았다. 처음 들었을 때는 미친 소리라고 생각했던 이야기도 백 번쯤 들으면 당연한 것이 된다. ” | 130
✔️ 여전히 ‘생명법’은 존재하고…
해피잭 하비스트 캠프가 폭발 사고로 파괴되고, 생명법에서 언와인드의 연령 제한이 17세까지로 낮춰졌다. 17세까지의 언와인드들이 풀려난 반면 사람들은 기이한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더 빨리 언와인드를 결정하자’
‘이제 우리가 이식받을 장기가 부족하다’
자유로워진 아이들보다 더 많은 수의 아이들이 언와인드되기 시작하고, 이식할 장기가 부족해지자 장기 밀매를 하는 조직들이 거리의 아이들을 납치하기 시작한다. 혼란이 거듭되는 상황 속에서 인간은 이제 언와인드한 신체 조직 중에서 최고의 조건을 가진 조직들만을 합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인간’을 창조하기에 이른다.
✔️ ‘카뮈 콩프리’
그는 과연 인간일까?
그의 영혼 어디에서부터 생겨난 것일까?
2권에서 가장 흥미진진했던 부분은 이 카뮈(캠)의 등장과 그 스스로 존재와 영혼에 대해 탐구하고 성장해 나가는 부분이었다. 너무 끔찍한 존재이지만 이미 이 세상에 내던져진 이상 그를 정말 인간이라고 불러야만 하는 것일까? 그의 끝없는 공허함이 안타까우면서도 인간의 이기심과 잔인함은 추악했다.
“ 공허함. 그게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의 내면이다. 거대한 빈 공간, 눈 앞을 행진하는 소녀들 중에서 영혼의 짝을 찾을 수 없다면, 그 사람들의 생각이 맞고 그에게는 정말 영혼이 없다는 뜻 아닐까?
「불완전. 」 그가 말한다. 「내가 완전하다면, 왜 이렇게 완전하지 않은 기분이 들죠?」
인간의 영혼이 나뉠 수 없는 거라면, 그의 영혼은 어떻게 그를 있게 한 아이들의 부분의 총합이 될 수 있을까? 그는 그들 중 하나도 아니고, 그들 모두도 아니다. 그렇다면 그는 누구일까? ” | 236
-
전작에 이어 주인공들은 대부분 그대로이지만 마냥 희망적일것 같았던 미래 대신 혼돈의 세계가 이어진다. 묘지를 이끌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과 언제 그들의 위치가 탄로날지 모르는 불안감에 시달리는 코너, 게다가 장기 밀매 조직은 웃돈을 주고서라도 그의 몸을 차지하려고 혈안이다. 그와 자꾸만 어긋난 채 어디론가 끌려가 척추이식의 위기에 처한 리사, 언와인드 조직 복합체 카뮈 콩프리, 스스로 십일조를 자처하며 (부모가 서명하지 않았는데도) 죽지 못해 안달인 미라콜리나, 그리고 계속해서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는 레브, 각각의 인물이 갖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면서 서로 엊갈리고 분투하고 언와인드 디스톨로지의 향방은 여전히 미지수이다.
✔️ 그래서.. 빨리 3권.. 3권!!
-
그는 몸을 떨며 깊이 숨을 들이쉰다. 마지막 기억은 이제 그의 일부가 되었다. 기억들이 얼굴의 피부처럼 짜맞춰져 있다. 견딜 수 없는 기억이지만 그는 견뎌 낸다. 이제야 그는 깨닫는다.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무너져 내리지 않고 백여 번의 언와인드 기억을 간직한 자신이 얼마나 강한 존재인지. | 97
과학의 임무는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것 위에 새로운 것을 쌓는 것입니다. 생명을 창조하는 게 아니라 완성하는 것 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그 질문을 밀고 나갔습니다. 우리의 지적, 신체적 진화를 우리 자신의 가장 뛰어난 요소들로 재조합 할 순 없을까? 우리 중 가장 뛰어난 사람들을 모두 합치면 어떻게 될까? 알고 보니, 알맞은 질문을 던지게 된 순간 답은 매우 간단하게 떠올랐습니다. | 207
자신을 전부, 완전히 내주기를 바라는 것이 그토록 이상한 일일까? 미라콜리나의 마음속 생각이 그렇다면, 왜 거부당해야 하는 걸까? 내 정신은, 사랑으로 가득한 어린 시절의 내 기억은 그런 기억이라고는 없는 방황하는 영혼들에게 간다. 나의 일부가 간 지금, 그들은 살면서 입은 수많은 상처에서 치유된다. | 305
병든 사회가 자신의 병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건강했던 시절을 기억조차 못할 수도 있을까? 지금의 상황을 반기는 사람들에게 기억이라는 것이 너무 위험한 것이라면? | 370
일이 일어나는 데는 이유가 있거나 아무 이유가 없다. 인간의 인생은 영광스러운 태피스트리의 실오라기이거나, 그저 절망적으로 뒤엉킨 매듭에 불과하다. | 558
도서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