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 창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강점기시대에 평등을 위한 고군분투를 섬세한 문체와 방대한 서사에 잘 담아냈고, 당시 조선 노동당이 남한에 들어오게 된 경위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사회 개혁이나 노동개혁을 외치는 이들의 이야기들을 섬세하게 담아내 당시의 파란만장했던 역사를 실감나게 한다.

투쟁도, 농성도 모두가 혼자만의 노력으로 가능한게 아니라, 모두가 함께 힘을 모으고, 화합하고, 연대하고 노력해야 가능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실히 느꼈다.

일본이 강압적으로 1898년에 경부철도 합공계약서를 체결해서 경부철도 부설권을 일본이 빼앗아, 토지를 강제로 몰수하고, 동원된 조선인들은 밤낮없이 일하고, 총살되거나, 때려죽이기도 했으니 철도에 대한 반발이 당연히 심했을 것이다.
선로에다 불에 달군 기와를 쌓아서 열차를 충돌하게 하고, 화약도 묻고, 자갈로 철로도 덮고, 공사장 석재를 옮겨서 선로를 막기도 해서 탈선이나 전복시켜서 일본군을 죽였던 이야기들에 이백만이 손자 이지산에게 '철도는 조선 백성들의 피와 눈물로 만든거다'라고 말하거나 이일철이 '도둑놈이 도둑질 하려고 만든 길'이라고 말한것이 기억에 남는다.

하얼빈에서도 철도 이야기가 나오는데, 1909년 순종과 이토히로부미가 열차를 타고 6박 7일 일정을 떠날때 순종이 '이것이 쇠로구나. 쇠가 온 세상에 깔리는구나'라는 이야기를 하고, 이토가 '지금 철로가 깔렸으므로 조선과 일본은 하나가 되어 세계로 나갈 수 있다. 쇠가 이 세상에 길을 내고 있고, 한번 길을 내면 길이 도 길을 만들어내서 누구도 길을 거역하지 못한다. 힘이 길을 만들고 길은 힘을 만드는 것이다.' 라고 하는 글이 생각났다.
결국은 약탈과 침탈을 위한 길이었구나 하는 생각에 씁쓸해지기도 했고..

실존 인물이었던 사회운동가 이재유, 이관술, 박헌영, 김형선 선생의 이름이 나와 반갑기도 했다.
재미있는 부분은 남성위주의 이야기, 남성 위주의 노동운동이나 독립운동, 사회운동들이 주를 이루나, 따라가는 시선이나 화자는 여성이라는 점이 독특했다. 중간중간 나오는 귀신의 이야기나 무속신앙 등을 담아 낸 이야기들이 너무 튄다, 왜 이걸 담았을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왜 담았는지 #차이나는클라쓰 황석영 작가님이 나온 부분을 보고 이해가 됐다.

철도원 삼대의 이야기 뿐 아니라, 여성들의 활약들도 서사로 잘 담아냈고, 증손자 이진오가 400일동안 굴뚝에서 고공농성을 하는 이야기가 현대 시대의 굵직한 노동운동과 투쟁과도 맞닿아 있어 더 묵직하게 느껴졌다.

게다가 이진오는 2014-2015년 실제 고공에서 408일 농성을 했던 스타케미컬 해고노동자 차광호씨를 실제 모델로 해 농성현장의 이야기를 가감없이 현실감있게 담아냈다.
등장인물인 이진오를 보며, 2018년 목동 열병합발전소 굴뚝에서 고공농성을 벌인 파인텍 노동자나, 2020년 355일동안 강남역에서 고공농성을 벌인 삼성해고노동자 김용희씨가 생각났다.
무엇보다 이진오가 굴뚝에서 내려오고 옥살이를 하고 석방되었지만, 열악한 환경에, 탄압에 며칠만에 동지들과 다시 올라갈 결의를 다지는 상황이 너무 씁쓸하고 안타까웠다.

구상부터 집필까지 30년이 걸려 완성한 이야기는 철도노동자 삼대와 증손자인 공장노동자의 이야기를 통해 일제시대때부터 6.25, 그리고 현대 노동환경까지 근현대사를 오가는 방대하고 강렬한 대서사를 만들어냈다.

6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 다소 부담스러웠지만, 너무 재미있어서 단숨에 읽어 버렸다.

노동하는 모든 이를 향한 황석영 작가님의 헌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