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것의 위에 앉아있는 사람은 매일매일 어떤 심정으로 살아갈까. 두 가지 부류로 나뉘지 않을까 싶다. 모든 사람을 책임지고 있다는 '책임감'으로 살아가는 이, 혹은 모든 사람이 내 밑에 있으니 그 사람들의 모든 것이 내것이라는 '무책임'으로 살아가는 이-성군과 폭군의 기준이 바로 '책임'이라는 단어 아래 있는 것이 아닐까.

소현세자는 임금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부터 임금의 아들은 아니였지만 반정을 통해 평범한 아이에서 세자로 거듭났다. 자신의 위치를 깨닫기도 전에 나라에는 큰 전쟁이 일어났고 오랑캐의 나라라고 쳐다도 보지 않았던 청이 조선의 안방까지 쳐들어왔다. 임금은 성도 버리고, 백성도 버리고, 아들도 버리고 허겁지겁 피해버렸다. 남은 고통은 오로지, 세자와 백성들의 것이였다.

전쟁은 그렇게 큰 생채기만 남겨놓은 채 비참하게 끝났고, 모든것을 내동댕이 치고 떠났던 임금은 오랑캐 앞에 무릎을 꿇어야만 했다. 태어날 때부터 세자가 아니였던 소현세자는, 하지만 모든 것을 누리기도 전에 무거운 짐을 지고 인질이 되어 청으로 떠났다.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길고도 길 여행길이였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조국과, 포로로 끌려와 짐승처럼 여기저기 팔리는 자신의 백성들을 바라보며 소현세자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인질로 떠나는 자신에게조차 머리를 숙이며 울먹이는 가엾은 백성들을 바라보며 세자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아마, 손톱이 손바닥에 깊숙이 박히도록 주먹을 꽉 쥐고, 꽉 쥐면서 다시 일어서리라 다짐하지 않았을까.

'소현'이라는 책에는 모든 것의 위에 있는 소현세자부터 맨 밑바닥 인생을 살아가는 만상에 아우르기까지 비참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하지만 책을 덮은 뒤 알싸하게 느껴지는 감정은 비단 비참함만은 아닐 것이다. 임금인 아버지의 지독한 의심과 청의 감시속에서 소현세자는 오로지 자신의 나라만을 생각했다. 그것은 청에 끌려온 조선사람들 모두 그러했다. 일어나리라, 언젠가는 청을 넘어서리라는 생각-그것만이 소현세자를, 그리고 비참한 세월을 지나간 조선 사람들을 살아가게 했을 것이다. 

비록 아버지의 사랑도, 백성의 사랑도 온전히 얻어내지 못한 세자였지만 그의 자리가 아름다운 것은 온전히 조선을 사랑한 그 마음 때문일거다. 그래서 알싸한 마음이 오래오래 가시지 않고 남아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