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날의 파스타>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보통날의 파스타 - 이탈리아에서 훔쳐 온 진짜 파스타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면 요리를 싫어한다. 이유를 따져 묻는다면 "그냥..."이라고 어리숙하게 넘어가겠지만 어렸을때 면 요리먹고 체했던 적이 있어서 가슴 속 깊이 트라우마 같은게 생겼었나보다. 아예 안먹을수는 없어서 칼국수나, 라면 등등을 가끔 먹기는 하지만 즐겨 찾는편은 아니다. 하지만, 내가 먹고 싶어서 찾는 면종류가 있으니, 바로 '스파게티' 되겠다.

크림 스파게티를 처음 맛본 날, 그 황홀했던 기억을 잊을수가 없다. 고소한 크림과 면발이 입속에서 녹아드는데, 얼마나 맛있던지. 오감을 자극하던 그 맛을 잊지 못해서 지금도 이탈리안 레스토랑이나, 파스타 전문점에 가면 무조건 크림 스파게티를 시킨다. 그리고 한 입 가득 물고는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보통날의 파스타'를 읽는 동안 누군가가 나를 지켜보았다면 크림 스파게티를 먹을때 지었던 행복한 표정을 발견할 수 있었을 것이다. 비록 눈으로 읽는 책이였지만 이미 입으로는 입맛을 다시고 있었으니 말이다. 이 책은 이탈리아에서 요리학교를 수료하고 셰프 생활을 하고 있는 요리사가 펴낸 책이다. 그래서인지 파스타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에서부터, 깊게로는 조리법까지 다양한 파스타들이 소개되고 있다.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던 드라마에서 주방장이 피클을 모두 없애는 모습을 보고는 깜짝 놀랬는데, 이탈리아에는 피클이 없단다. 아무리 찾아도 정말 없단다. 또한 카르보나라를 시키면 국물이 가득한 우리나라와 달리 이탈리아에서는 국물을 찾아볼 수 없다고 한다. 소스를 면 깊숙히 스며들게해서 씹을수록 고소한 맛을 내게 하는 것이 이탈리아식 조리법이라고 한다. 그러고보면 우리나라 입맛에 맞게 변형된 요리들이 꽤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가 흔하게 먹는 스파게티에서부터 라비올리, 라자냐등 이탈리아 요리에 대해 유래와 대표 지방들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이미 책 한 권으로 맛여행을 떠난 기분까지 든다. 

잘하지는 못하지만 책에 소개된 레시피대로 스파게티를 만들어볼까 한다. 내게 면요리에 대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게 해준 스파게티를 소중한 지인들에게도 소개시켜주고 싶어졌기 때문이다. 멋진 스파게티를 만들 때까지는 당분간 '보통날의 파스타'가 나와 제일 가까운곳에 항상 대기하고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