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의 나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아사의 나라
유홍종 지음 / 문예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여러가지 사극 드라마로 인해 고대 나라들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드라마라는 장르 특성상 역사의 사실보다는 극의 재미에 더 치중하는게 문제이기는 하지만,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건 사실이다. 저 먼 옛날에 삼국시대에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또, 삼국의 역사에서 조용히 스러져간 가야라는 나라는 어떤 나라인지...
'아사의 나라'는 가야 왕녀의 일생을 다루고 있다. 1부는 그녀의 일생을 다루고 있고 2부는 그녀의 딸에 대해 다루고 있다. 가야의 왕녀 아사는 백제군에 침입에 피난을 떠난다. 불안한 정세속에 떨고 있던 그녀는 대야주의 주둔 사령관으로 부임한 설오유와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진다. 서로에 대한 침략이 없는 편안한 시대였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둘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나고 만다. 설오유와의 사랑의 결실을 뱃속에 품은 채 아사는 의자왕의 후궁으로 백제에 끌려가게 된다. 의자왕의 총애를 받는 아사지만 뱃속의 아기를 위해, 그리고 사랑을 위해 궁을 탈출하지만 결국 목숨을 잃는다.
시녀 설파에 의해 간신히 목숨을 건진 사비는 눈 먼 예언자가 되어 다시 백제에 나타나게 된다. 가야와 어머니 아사의 목숨을 거두어간 백제는, 이미 멸망의 길을 걷고 있었다. 사비는 왕비에게 깨끗하게 자결할 것을 권하지만, 이미 때는 너무 늦었다.
"그런데 사비야, 네 이름이 무슨 뜻인지 아느냐?"
"어머니의 아사처럼 사비는 아침이라는 뜻입니다." 설오유는 고개를 끄덕였다. 설오유는 그 순간 아사가 사비이며 사비가 아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으로 부녀의 짧은 해후는 끝이 났다.
그렇게 부녀간의 만남을 짧게 끝났다. 사비와 설오유는 다시 역사의 거대한 흐름속에 잠겨버린 것이다. 소설이기에 어떤 내용까지 사실이고, 어떤 내용까지가 픽션인지 알지 못하나, 그 옛날 흔들리는 나라 속에서 개인이 살아가기에는 너무나 불안했을 것이리라. 그런 불안한 정세속에서도 간신들은 권력을 잡기 위해 이리저리 아첨했고, 세도가들은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백성들을 내쳤다. 그런 모습들이 요즘의 세태와 너무 닮아있는것을 아닐지. 가야가 힘없이 스러지는 모습을 보며 잠시 긴 생각에 잠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