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비>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리틀 비 Young Author Series 2
크리스 클리브 지음, 오수원 옮김 / 에이지21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속담에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리틀 비에게 한다면 그녀는 동그란 눈을 더욱 동그렇게 뜨고 내게 이렇게 물을 것만 같다. 그럼 당신도 내 상황을 보고 모르는 척 할건가요? 다른 사람들처럼? 내 한 몸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이라고 다급하게 변명하고 리틀 비에게서 눈을 돌리는 나는, 얼마나 비겁한가.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내가 얼마나 비겁한 사람인지 마주하고 또 마주해야만 했다. 

영국에서 '닉시'라는 잡지를 발행하는 편집장으로서, 한 남자의 아내로서, 한 아이의 엄마로서, 새라는 남들이 말하는 '행복'의 조건을 가진 여성이다. 하지만 그녀는 행복하지 않다. 그녀는 결혼하고는 금세 결혼생활에 진저리냈고, 새로운 사랑을 찾아 불륜을 저질렀다. 이제 그녀는 선택을 해야만 한다. 불행한 결혼생활로 끝낼 것인지 다시 시작할 것인지. 그래서 그녀는 남편과 함께 나이지리아로 떠난다. 다시 시작하기 위한 출발. 

하지만 그것은 또다른 불행이였다. 다른 좋은 휴양지를 두고 왜 하필이면 나이지리아로 떠났는지 묻는다면, 그건 새라 역시 자신에게 수천번도 더 질문했던 항목이리라. 마침 공짜 티켓이 새라에게로 왔고, 남들이 다가는 휴양지를 싫어했을 뿐이라는 뻔한 답을 하지만, 결국 그날 일어났던 일에는 적절한 답이 되지 못한다. 그날, 그 밤 호텔 구역 바깥의 해변을 산책하던 새라와 앤드류는 남자들에게 쫓기는 아프리카 소녀 두 명을 만난다. 그리고 선택의 시간이 다가온다. 소녀들은 석유 전쟁속에 휘말려서 모든 것을 잃고 도망치던 중이였다. 남자들은 그런 그녀들을 죽이기 위해 쫓아온 것이였다. 달빛에 번뜩이는 칼날을 휘두르며. 안전하고 보호받는 치안시설에만 익숙한 새라 부부는 모든것이 꿈같이 느껴지지만 번뜩이는 칼날아래 곧, 현실을 인정하고 만다. 

남자들은 새라에게 말한다. 이 소녀들을 살리고 싶으면 손가락 하나를 자르라고. 앤드류는 주저하고 새라는 눈물을 흘리며 가차없이 손가락을 자른다. 앤드류가 주저했기 때문에 한 소녀는 죽임을 당했고 새라가 손가락을 자른 덕에 한 소녀는 살아남았다. 살아남은 소녀가 바로 리틀비다. 

리틀비는 끔찍한 지옥에서 살아돌아왔다. 그리고 새라앞에 돌아왔다. 새라는 그 동안 잊고 살았던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 잘린 손가락을 보면서도 애써 부인하고자 했던 그 진실들, 사건들 앞에.  

모든 난민들을 받아주다보면 끝이 없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안전하게 거주하고 있던 내 집까지 침범받을지도 모른다고. 하지만 리틀 비의 동그란 눈을 보고도 그런말을 할 수 있을까? 별 것 아닌 석유 때문에 집과, 고향과, 부모님과, 언니까지 처참하게 잃어버린 그 자그마한 소녀에게. 우리는 우리에게 필요없는 것들을 내놓으면서 선심쓰듯이 말한다. 하지만 리틀 비에게 진짜 필요한 것은 쓸모없는 물건이 아닌, 진심어린 시선이 아니였을까. 불법체류자라고 무조건 쫓아내는게 아니라, 그녀가 처한 현실을 똑바로 바라봐주는 것-그것이 아니였을까. 

<내 심장은 나비처럼 가볍게 날아오르는 것 같았다. 난 생각했다. 그래, 바로 이거야. 내 마음만은 죽지 않고 살아남았어. 더 이상 달아날 필요가 없는 마음. 세상 돈 전부를 합친 것보다 소중한 나의 마음. 그 마음의 진정한 고향은 바로 인간이야. 이런 나라, 저런 나라에 살고 있는 인간을 말하는 게 아니야. 내밀하고 저항할 수 없는 사람의 마음이야말로 바로 내 마음의 고향이었던 거야.

이제 리틀비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났다. 그러면서 나에게 한 가지 숙제를 내주었다. 불편해도, 힘들어도 진실과 마주하라고. 나는 그 외침을 가슴 속 깊이 담아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