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미안 ㅣ 열림원 세계문학 1
헤르만 헤세 지음, 김연신 옮김 / 열림원 / 2023년 7월
평점 :
화자인 싱클레어는 유복한 가정에서 화목한 생활을 한 주인공이다. 그러나 순탄치 못한 성장 과정에서 주변의 어두운 유혹과 내면의 갈등 사이에 혼란을 겪으며 청소년기를 보낸다. 데미안은 이 혼란의 중심에서 등대 같은 역할을 하는 청년으로 등장한다. 마치 등대의 불빛 하나만 있으면 잡념이 사라지는 것처럼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믿고 의지하게 된다. 하지만 상급학교 진학 후 회복했다고 믿었던 자아에 상처를 내며 좌절의 나날을 보낸다. 그리고 또다시 데미안과 재회하며 싱클레어는 자아를 완벽하게 장착하는 시도를 하게 된다.
데미안은 1919년에 발표된 헤르만 헤세의 작품으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독일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나온 작품이다. 싱클레어의 성장 과정이 이 시기의 혼란스러운 정서를 닮은 갈등과 성장을 반복한다.
“모든 인간의 삶은 자기 자신을 향해 가는 길이자, 그 길로 가고자 하는 시도이며, 어느 좁은 길에 대한 암시라고 하겠다. 일찍이 그 누구도 온전히 자기 자신이 되어본 적이 없다. 그럼에도 누구나 그렇게 되려고 애를 쓴다. 누군가는 막연하게, 누군가는 보다 확실하게, 각자 할 수 있는 만큼 애를 쓴다.”
지난날의 좌절과 상처가 가리키는 건 성장이라고 생각한다. 성장 과정에서 섬광처럼 불쑥 찾아오는 건강한 자아는 인생의 난관에서 벗어날 기회이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이라는 섬광을 피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소설의 결말은 순탄하리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그 시절 나는 정신없이 마구 돌아다녔다. 마음속에선 폭풍우가 휘몰아쳤고 매 발걸음은 위험이었다. 나는 내 앞에서 심원한 어두움 말고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그 어둠 속으로 지금까지 온 모든 길들이 뻗어 들어가 가라앉았다. 나의 내면에서는 데미안을 닮았으며 그 눈 속에서 내 운명이 도사리고 있는 인도자의 형상을 보았다.”
그 눈은 지혜로 가득 차거나 광기로 차 있을 수 있고 사랑이나 깊은 악의를 내뿜을 수 있지만 선택해선 안 되고 아는 것도 원해서는 안 되는, 우리가 원해도 되는 것은 오로지 자신, 자신의 운명뿐이라고. 어쩌면 싱클레어의 참된 자아를 찾는 길은 순탄한 여정이었는지도 모른다.
불안, 초조, 강박이 난무한 시대로 우울에 의지해 가며 앞날의 캄캄함 앞에 좌절하고 있다면, 뻔한 정신 차리라는 말은 하지 않겠다. 이 과정 또한 꼭 필요한 인생길임을 데미안을 통해 전달받길 바랄 뿐이다.
“나 자신을 향한 향수가 눈뜨는 순간이었다.”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