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은 생명은 없다 - 세계 최초, 유기동물 호스피스에서의 사랑과 이별 이야기
알렉시스 플레밍 지음, 강미소 옮김 / 언제나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옆에 아픈 반려견이 코를 골고 자고 있다. 코를 골다가 호흡을 멈추기도 하고, 깊은 잠에 빠지면 코를 안 골아도 호흡을 멈춘다. 낮에는 새소리와 주변 소음으로 귀를 쫑긋 세우고 짖어대기 바쁘지만, 밤이 되면 비상이다. 지켜보고 있다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기 위해 움직이는 배가 멈춰버리면 흔들어서 깨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펼치기가 조심스러웠고 읽기 시작하는 순간 무서웠다.
“그래, 이 모든 일은 ‘매기’로부터 시작되었다.”
남자는 한쪽 발로 개를 걷어찼다. 개가 움찔하더니 본능적으로 남자가 시키는 대로 움직였다. 매기와 알렉시스 플레밍과의 만남에서 중요한 건 안정보다 안전을 지키는 것이었다.
“하하, 물에 들어가 있으면서 물기를 털어 내면 뭐 하니, 매기!”
매기는 과거를 잊은 채 밝고 활달한 아이로 성장했지만 알렉시스 플레밍은 크론병 진단을 받게 된다. 잠시 매기와 떨어져 지낼 때는 알렉시스 플레밍의 엄마가 아주 다정한 방식으로 매기가 무엇을 했는지 메시지로 알려주었다.
“안녕, 엄마! 오늘 할머니와 호수에 갔어. 커다란 막대기를 들고 물놀이하다가 물기를 마구 털었더니 할머니가 흠뻑 젖었지 뭐람. 사랑해, 엄마. - 매기가”
그리고 매기의 병.
매기는 평소처럼 즐겁게 정원을 돌아다니며 냄새 맡고 일광욕도 즐긴다. 밥도 잘 먹고 아픈 기색도 전혀 없다. 하지만 무언가 문제가 생겼다는 건 매기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늘 궁금하다. 아이의 아픔의 강도와 슬픔의 정도가. 옆에서 지켜보는 것밖에 할 수 없다는 사실에 답답하고 눈물만 나지만, 한결같이 혀를 내밀어 볼에다 손에다 사랑을 표현하는 아이를 보면 자연스럽게 미소가 지어진다. 끝까지 선물 같은 녀석이다.
“매기야, 사랑해. 널 정말 정말 사랑한단다.”
사랑한다는 말에 오글거리는 타입인데 아픈 아이를 곁에 두니 밥 먹는 것보다 더 신경 써서 진심을 다해 말을 한다. 알렉시스 클레밍의 한마디 한마디가 공감으로 가득하다. 매기의 수술 위험성을 인지하고 수술하였으나 결과는 좋지 않아 결국 안락사를 하게된다.
“내가 알고 있던 세상도 끝났다.”
무섭고 두려운 세상과 마주했다. 사랑스러운 아이가 없는 세상. 아픈 아이를 보며 상상하다가 고개를 저으며 부정하던 세상. 위 문장을 읽는 순간 모든 게 멈춰버리는 것 같았다.
“매기가 혼란스럽게 보냈을 시간들을 상상했다. 녀석은 주인이 어디에 있는지, 왜 이런 일이 일어나도록 홀로 내버려 뒀는지 궁금했을 것이다. 배신감을 느꼈을지도 모른다. 아이가 혼자 죽었지만, 나는 녀석이 사랑으로 가득한 삶을 살다 갔다고 되뇌었다. 그것만이 지금의 고통을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슬픔 속에서 미소를 짓게 했던 ”매기 플레밍 동물 호스피스’는 미지의 세계로 인도한다. 새로운 만남은 이어지고 생을 마감하는 순간에는 고통스러웠지만 다행히 빠르게 지나갔으며 꽤 침착했다. 경험과 수용의 결과라고 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누구든 살아가며 경이로움, 공포, 미지의 무언가를 통제할 수 없고, 사건도 죽음도 계속 일어나기에 그것이 삶이라고 알렉시스 플레밍은 말한다. 삶이 끝날 때 죽음을 받아들이고 견디는 것이 가장 평화로운 방법임을 깨달았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던 세상이 끝나는 순간에 어떻게 아이의 죽음을 받아들여야 할지 생각하기도 싫다. 하지만 다가올 일은 없어지지 않는다. 죽음을 최대한 평화롭고 존엄하게 만드는 일에 앞장선 알렉시스 플레밍의 ‘작은 생명은 없다’를 통해 이별의 아픔을 당겨 느끼면서 생명의 소중함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었다.
*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