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이 질병이 되는 순간
전형진 지음 / 프리즘(스노우폭스북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독은 언제든 멈출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시작과 반복의 연속이다. 하지만 쾌락은 다르다. 쾌락은 말 그대로 끊임없이 즐기거나 머물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이 책은 이러한 쾌락이 질병이 되는 순간을 이야기하는데 그 끝은 중독을 가리킨다.


쾌락이 질병이 되는 순간
전형진 저 | 스노우폭스북스 | 2023년


즐거움이 일정하고 높낮이가 없으면 표정이 없어진다. 무덤덤 혹은 무감각이라고 해야 하나. 좋은 것도 한두 번은 통한다. 멈출 줄 알아야 현재를 즐기는 최대치를 맘껏 끌어당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이라는 존재는 쾌락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동물적 감각을 내세워 누리고자 한다. 좋아하고, 즐기며, 기뻐하는 모든 것들이 하늘에서 눈처럼 펑펑 내리길 바란다. 너무 행복하면 불안하다는 말도 있는데, 당장 죽어도 좋다는 초긍정의 힘을 내뿜다가도 계속되길 바라는 이 역설적인 설정은 도대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건지. 멈출 줄 안다는 건 순간의 기쁨을 극대화하는 아주 귀한 일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된다면 중독에서 벗어나는 일이 빨라질 텐데.


이 책은 스마트폰, 쇼핑, 다이어트, 게임, 빚 때문에 멈출 수 없어 고민인 사례들로 시작한다. 심하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가장 눈에 띄는게 있다. 바로 스마트폰이다. <CHANGE 9>에서 최재붕 교수는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명백한 ‘인공장기’에 가깝다고 말했다. 종일 우리의 몸과 붙어 있으면서 생각, 습관, 행동 양식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제3의 장기와 같은 스마트폰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느냐는 물음과 함께 저자는 세 가지 방법을 추천한다. 사용 시간을 정해놓기, 중독성 강한 앱 삭제하기, 다른 취미 찾기이다. 익히 잘 알고 있는 방법이라 설득력 있게 다가오진 않았지만 일단 행동으로 옮겨야 벗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명확해졌다.


몸과 정신을 파괴하는 쾌락의 덫으로 알코올, 성형, 도박, 니코틴, 마약중독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일상을 파괴하는 평범한 유혹들로 일, 욕, 육류, 라면, 수면제, 모성애 중독도 다루고 있다. 마냥 좋기만 할 것 같은 사랑, 운동, 카페인, 공부, 기부 중독에 관한 내용도 있는데 그중 사랑에 빠지는 3단계가 눈에 들어왔다. 사랑의 감정을 갖기 전 성욕을 느끼며, 사랑의 진입 단계에서 매력을 느낀다. 그리고 안정적이고 편안한 기분을 느끼는 애착에 이른다. 물론 과하면 이 또한 맹목적인 헌신이나 집착으로 중독이 되어버리는 무서운 결과를 낳는다.


거의 모든 중독에 관한 정신건강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이 이 책에 담겨있다. 할 수 없다는 감정에 호소하지 말고 행동하면 반드시 변화는 일어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다. 내 삶의 주도권은 보이지 않는 감정이 아니라 눈에 보이고 느껴지는 행동력에 있으니깐.


‘감정이 행동을 이끄는 게 아니라 행동이 감정을 이끈다.’



*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생각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