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가장 굴욕적인 패배였던 병자호란은 역사를 좋아하는 내게도 외면 받은 전쟁이었다.

당연히 인조도 내게는 관심밖의 인물이었다. (어쩌면 다른 사람들에게도..?)

병자호란에 처음 관심을 가지게된 건 영화를 좋아하는 내가 <최종병기 활>보고 나서였다.

전쟁이후 그렇게 많은 조선백성 수십만명이 청에 끌려갔다는 사실을 영화를 보고 나서야 알았다.

이후 영화 <남한산성>과 지난해 <올빼미>를 만났고, 인조와 소헌세작 그리고 병조호란에 대한 흥미가 극에 달한 시기에 만난 이 책이다.

반정이라는 이름의 정변으로 왕위에 올라선 인조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라는 일본과의 7년 전쟁에 대한 전후복구는커녕 오히려 한심한 외교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청의 침략을 자초하고 말았다.

그 두번의 전쟁을 제대로 막아내지도 못했으며, 삼전도의 굴욕을 맛본 인 조이다.

이미 정묘호란으로 조선이 금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걸 알았으면서도 아집(숭명배금) 으로 10년 뒤 병자호란을 불러들이게 된다.

병자호란은 불가피한 전쟁이 아니었다. 이책은 광해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인조반정, 금과 황제 후지타이의 이야기,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그리고 소헌세자의 의문의 죽음까지 다신 만나지 말아야하는 '인조의 시간'을 꼼꼼히 집어주고 있다. 무능하고 아집에 빠진 지도자를 만났을 때 그를 따르는 사람이 어떤 고통을 받게 되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책을 읽다보면 인조의 탐욕과 아집이 결국 조선 후기 쇄국을 고집하게 만드는 뿌리가 아니었나 싶다.

항상 성공의 역사만 살펴보면 안된다. 인조시대 처럼 실패의 역사를 토대로 우리는 또다를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나같이 역사와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좋은 길라잡이가 되어주는 책이다.

부록도 챙겨보자 남한산성에 대해 알수 있게 된다.. 무려 신라시대 때 만들어진 성이다.

그나저나 책 제목 덕택에 병자호란의 연도는 정확하게 기억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